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덕트 풍도주위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prinkler System in Duct Passing through Fire Compartment Walls

  • 100
151109.jpg

최근 K공단 전자부품 제조공장의 화재 발생과 관련하여 화재유형의 다양화 및 피해규모 증가로 인해 화재확산방지와 인명안전보호에 대한 소방법령 및 소방관계법령의 기준검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법법령에서는 전자부품 제조공장에 국한하여 방화구획 벽체를 관통하는 배기덕트는 내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적용함으로써 방화댐퍼(FD) 설치를 완화해주고 있다. 하지만 해당조항은 대체 적용가능 여부만 제시하고 설치기준에 대해서는 전무하여 소방법과 건축법간의 상충된해석이 발생하고 이로인해 업무에 큰 혼선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한 공정을 갖고있는 전자부품 제조공장의건축법령으로 소방시설의 문제점을 3가지로 검토·분석하였다. 또한, 화염확산 방지에 적합한 건축법으로 소방시설의 성능기준과 점검·유지관리기준을 제시하였다.

The need for a standard review of fire prevention and related statutes and human safety protection against fire spread has emerged owing to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fire types and the increase in the scale of damage in the K-industrial complex s electronic parts manufacturing plant. The building law mitigates the installation of fire dampers (FDs) by fixing sprinkler heads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duct that penetrates the fire compartment wall in the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plant. However, the clause presents only alternative applicability and does not present any installation criteria. This results in conflicting interpretations between the Fire Protection Act and the Building Act, causing major confusion in the work.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problems of building legal fire-fighting facilities in electronic parts manufacturing plants with special process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addition, performance standards and standards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legal firefighting facilities suitable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lames were presented.

1. 서 론

2. 방화구획 선상 스프링클러설비의 현장 취약점 및 품질관리를 위한 대책

3. 방화구획 선상 스프링클러설비 체크리스트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