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청소년의 정서와 명상의 관련성 및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했다. 먼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명상연구들은 대체적으로 명상의 효과적 측면에 집중했다.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나누어, 긍정적 정서의 향상과 부정적 정서의 감소라는 측면에서 발표된 연구서들이 주를 이룬다. 본고에서는 그간 발표된 청소년 명상 관련 연구 중 명상 효과의 특성을 분석하여 청소년 명상효과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실질적인 수치화가 가능한 메타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와 명상의 관련성을 규명해 긍정 정서와 명상효과와의 관련성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한 메타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명상프로그램 실시 후 청소년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연구를 분류하고 2차로 명상과 긍정적 정서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2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청소년 명상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의 특징과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청소년 명상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정서와 명상에 관한 연구는 효과크기가 큰 소규모부터 대규모의 연구가 출판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차 명상과 마음챙김 명상이 청소년의 긍정적 정서 증진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hrough meta-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emotions and the effect of meditation. Meditation studies on adolescents have largely focused on effective aspects of meditation. Studies divide these aspects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many studies show that, with meditation, positive sentiments improve and negative sentiments de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tation effect, focusing on published research on adolescents’ medit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meditation effec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motion and meditation through a meta-analysis that can practically quantify the phenomenon. The first step in the meta-analysis was to classify studie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adolesce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fter a meditation program. The second step was to select studie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positive emotions. The effect size of the 20 studies for final selection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trends in youth meditation studies. Results show that published studies on youth emotion and meditation ranged from small to large-scale studies with large effect sizes, and that, among the selected studies, tea therapy medit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s for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of adolescents.
1. 서론
2. 청소년 명상연구와 메타분석
3. 청소년 명상과 긍정정서 간의 상관성: 메타분석 결과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