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A Study of Selection for Optimal MRI Diagnostic Device Applied to Parameter Changes with 3D TOF Technique at 1.5 T and 3.0 T: Focused on Small Vessels
- 한국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방사선학회 2018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2018.0530 - 30 (1 pages)
- 22

본 데이터 분석은 1.5T HSR(high spatial resolution) 기법과 3.0T SR(standard resolution) 기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뇌혈관 TOF 3D[1,2] 검사시 1.5T가 3.0T의 영상의 질을 보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PACS 네트워크(network)로 전송 된 총 300 명의 환자 데이터를 ICA, M1, A1, A2, VA 혈관에 관하여 SNR과 CNR 값으로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M1~4, A1~A3, P1~P4 혈관을 3 단계로 구분하여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SNRs과 CNRs은 3.0T가 높은 값을 얻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05). 정성적 분석으로 A3, M3~M4, P3~P4 분절에서는 1.5T 가 높은 점수를 얻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05). 이러한 차이는 3.0T가 몇 가지 인공물(artifact)로 인하여 작은 혈관 묘출이 어려웠다. 그러나 뇌혈관 묘출에 있어서 1.5T 와 3.0T 3D FFE TOF 기법은 영상의 질 평가가 모두 가능한 영상이었다. 따라서, 뇌혈관 묘출에 있어서 TOF 3D 검사 시 영상의 질적 측면에서 1.5T MRI 가 3.0T MRI를 보완할 수 있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