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Evaluation of Significanc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Coronary Stenosis in a Normal Adult

  • 9
151142.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현대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환경오염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질환 중의 하나가 심혈관 질환이다.[1] 이러한 질환은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으므로 동맥경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와 진단 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령대별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와 관상동맥 협착 관계, 연령대별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 혈압과의 관계, 연령대에 따른 관상동맥 협착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가 상승한 대상자의 혈압과 관상동맥 CT상의 협착 정도를 수치화하여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경남 거제시에 위치한 D 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2014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종합검진을 시행한 검진자를 대상으로 동맥경화도 결과값이 상승하고 관상동맥혈관 CT 검사를 시행한 혈압 측정 결과가 있는 980명을 실험 대상군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와 관상동맥 협착은 30대에서 27.59%, 40대에서 45.39%, 50대에서 56.75%, 60대 이상에서는 66.91% 로 나타났으며, 연력대별 평균 협착 분포는 55.41%로 나타났다.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와 혈압과의 관계는 30대에서 82.76%, 40대에서 80.5%, 50대에서 76.25%, 60대 이상에서는 80.67%로 혈압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는 LAD에서는 13.20%, LCX에서 4.37% RCA에서 5.12%를 차지하였다.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와 관상동맥혈관 CT의 유의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완-발목동맥 맥파전달속도가 상승하였을 경우 관상동맥혈관 CT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날 비율이 55.41%를 차지하였다. 이는 동맥경화도 검사 시 비정상적인 수치가 나오면, 관상동맥 협착을 의심하고 관상동맥혈관 CT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할 것을 권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