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사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Teacher Motivation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 1,600
151124.jpg

교사동기는 교사의 교직업무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습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학업동기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동기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교사동기 연구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동안 수행된 교사동기 연구들은 교직의 특수성을 반영한 동기이론을 개발하여 적용하기 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 사용되었던 동기이론을 교사동기에 단순히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동기 연구에 적용된 주요 동기이론들(자기효능감, 성취목표이론, 자기결정성이론, 기대-가치이론, 성취정서이론)을 검토하고,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도출된 주요 교사동기 구인들(교사효능감, 성취목표, 자율성동기, 교직선택동기, 성취정서)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의 주요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향후 교사동기 연구에서 주목해야할 과제로 교사동기 특수성에 부합하는 동기이론 개발 및 적용, 교사동기의 종단적 변화와 안정성, 교사가 ‘지각한’ 동기의 특성과 선행요인, 교사동기와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 교사동기 측정방식의 다각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동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교사동기 연구자들이 주목해온 주제들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중요성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연구주제들을 발굴하여 향후 과제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espi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eacher motivation on student learn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eacher motivational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eacher motivation in terms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o effectively promote adaptive teacher motivation. Early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the motivational theories utilized in student motivational research are applicable to explain teacher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motiv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teacher motiva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main theories of motivation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 self-determination, expectancy-value, achievement emotion theories) as theoretical framework and examin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teacher moti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futur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t was discussed that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revising and expanding the motivation theories suitable for the research on teacher motivation in order to reflect unique and distinctive aspects of teacher motiva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domain-specific and situation-specific nature of teacher motivation need to be captured and tha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motivation and related variables need to be investigated. As research interest in teacher motivation is rapidly increasing,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of teacher motivation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교사동기와 교직의 특성

Ⅲ. 교사동기의 연구 동향

Ⅳ. 교사동기의 향후 연구 과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