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SI 프로젝트 관리 생산성 향상을 위한 평가와 진단: 중소 SI기업 사례

  • 98

국내 대기업의 시스템통합(SI) 사업 진출을 제한한 ‘소프트웨어 진흥법’ 개정안 2012년 5월에 제정됨으로서 이에 띠라 국내 중소 SI기업은 사업 진출 확대 기회께 시장 실패 위험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I 프로젝트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존재하고, 고객의 프로젝트의 일정단축 요구 및 개발 대상 업무의 요건 불확실성, 업무의 복잡성이 높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성공률이 다른 산업에 비해 낮다. 특히 중소 SI기업은 프로젝트의 주사업자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프로젝트의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한 많은 SI 프로젝트는 비 가시성 등 그 특성으로 인해 만족할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 SI기업들의 프로젝트 관리 개선해야할 관리 영역별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진단함으로서 SI 프로젝트 관리 생산성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프로젝트의 정의와 SI 프로젝트 관리의 특징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계층분석모형(AHP)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설계를 소개하고 4장에서는 5개 중소 SI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SI 프로젝트 관리 필요 역량과 프로젝트 관리 개선을 위한 평가와 진단을 실시한다. 5장 결론과 향후 연구방향에서는 중소 SI기업들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언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한다. 연구결과, 중소 SI기업의 프로젝트 관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첫째, 각 중소SI기업은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자사에 적합한 세부 이행 항목을 검토하여, 필수 이행 항목을 재 정의하고, 정의된 세부 항목 달성을 통해 지식 관리 영역에 대한 성과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상호 유기적인 연계 관리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평가 지침 확보와 내부 역량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요소의 중요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선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전사적으로 기업별 사업 규모와 영역에 맞는 기준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객관적 타당성을 위한 지속적 검증 및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조직을 이용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프로젝트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프로젝트의 주사업자로서의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 인적 역량 향상 기회 제공 및 체계적 조직의 지원 역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으며, 대기업과 같이 다수의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거나 신속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험이 많지 않기에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프로젝트 관리 조직을 활성화하여 전반적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통제가 필요하다. 넷째, 중소기업 중앙회 등 유관 기관의 정책적 지원제도를 최대한 이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 중앙회는 중소기업들의 사업수행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소기업방법론 제공 및 중소기업용 IT 프로젝트관리시스템(PMS)개발하여 제공함으로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관련기술 중복투자방지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를 상황에 맞게 활용한다면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품질 관리도구 제공 및 위험 조기 인식, 정성적 위험분석,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어 프로젝트 관리 생산성 향상에 일정 부분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