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및 아파트 규모별 가격상승률 차이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자 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People Availing of Reverse Mortg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rice Increase by Region and Apartment Size
- 여대환(Yeo, Dae Hwan) 백성준(Baek, Sung Joon)
- 한국부동산연구원
- 부동산연구
- 제29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3
- 39 - 48 (10 pages)
본 연구는 주택연금 월지급금 산정요인 중 하나인 주택가격 상승률에 따른 지역 및 주택규모별 가입자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단일모형으로 공급하고 있는 주택연금 상품에 대한 손실 가능성 최소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택연금 가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가격 상승률 자료에 대한 범위가 획일화되어 있는 수도권 및 5대광역시 아파트 가입자를 대상으로 아파트 규모별 및 지역별 가격상승률 차이에 따른 가입자 변화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별 아파트 가격상승률 요인 중 경기, 대구, 울산, 광주에서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 요인에 대해 통제 후 아파트의 규모 요인에 대한 고정효과 모형을 분석한 결과 전용 85㎡초과에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횡단면 분석이 주를 이루었으나, 본 연구는 지역 및 아파트 규모별 가격상승률 차이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자 변화에 차이에 대해 패널분석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Suggested herein is a policy proposal f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loss from reverse mortgage, supplied as a single model.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people availing of reverse mortg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rice increase by region and house size, one of the factors for the calculation of the monthly payment for reverse mortgage, a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people who rent apart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five metropolitan cities where the scope of the price increase rate data is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apartment size and the difference in the price increase rate a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in Gyeonggi, Daegu, Ulsan, and Gwangju, the significance level for the differences in the apartment price increase rate factors by region is 1%. Second, the fixed-effect model for the apartment size as controlled for the regional factor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10% significance level in excess of 85㎡. In the previous studies, cross-sectional analysis is mainly used, but in this study, panel analysis i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housing pension subscrib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rice increase rate by region and apartment siz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지역 및 아파트 규모별 패널자료 구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