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183.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워킹 스페이스의 구성과 운영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 Importance Analysis of Coworking Space Organization and Operating Components

  • 212

사무공간의 공유는 초기 회의실 대여 등 단순한 사무공간의 대여로 시작하여, 주 업무공간과 업무지원공간을 분리하여 지원하는 공유 오피스를 거쳐,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하여 입주멤버들 간의 협업과 시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공간인 코워킹 스페이스로 발전했다. 본 연구는 사례를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공간의 특성에 대해 파악 한다. 하드웨어 차원의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차원의 운영요소들 중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요소를 도출하고, 코워킹 스페이스의 현재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분석결과 상위요소는 ‘공간구성’, ‘멤버쉽 관리’, ‘코워킹 관리’, ‘건축요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일반 항목을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을 때 각 특성별로 요소들 간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연스러운 커뮤니티의 형성이 코워킹 스페이스의 구성에 있어 중요했다. 향후 코워킹 스페이스를 구상할 때 ‘공간구성’ 과 함께 코워킹 스페이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커뮤니티 활성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건축요소 부터 공간구성, 멤버쉽 관리, 코워킹 관리의 세부요소들 까지 분석하여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e shared-office business started with the lending of office spaces such as meeting rooms. From this came the coworking space, which maximizes the collaboration among the residents and promotes synergy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working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derived the factor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among the hardware- and software-level operating components, and presented the prioriti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for the employees currently utilizing a coworking space.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op elements in the survey were found to be “spatial composition,” “membership management,” coworking management,” and “architectural elements.” In addition, when the general it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riority level among the elements of each characteristi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when designing coworking spac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olving the problems of small companies and the environment, among other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shared community through linking at the local or national level,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a single space.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및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