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11차 연도부터 19차 연도자료를 이용하여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계층을 구분한 후 저소득계층의 계층변동이 없는 가구와 변동이 있는 가구의 주거이동 영향요인을 전체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저소득층은 주거이동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가구와 데이터를 분할하여 살펴본 가구특성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연령과 점유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계층 변동이 없는 가구에서 연령과 주거비용, 전월세의 임차가구만이 유의함을 보임으로써 이들의 주거비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득계층의 변동이 있는 가구에서는 총소득과 상용직 종사자수가 전체가구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저소득계층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저소득계층 내에서도 불균형이 심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저소득층의 소득향상과 주거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주택정책을 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sidential mobility based on the data from the 11th to the 19th wave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After grouping low-income households within the first to the fourth income bracket into households that exhibited no income bracket change and those with income bracket change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come situation of each group on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group of households that showed no low-income bracket change,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only in the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housing cost, and rental deposit (Jeonse) and monthly rental of the household. In the group of households that showed low-income bracket changes, findings were generally in line with those of the whole household, where total income and the number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household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whole household, indicating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employment stability of low-income househol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using inequality is intensifying within low-income households, and, thus, housing policies, based on continuing surveys, must be implemented to enhance income opportunities and stabilize the housing needs of low-income households.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변수 및 연구모형 설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