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서울시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보행네트워크 기준대중교통 접근성의 지역별·계층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for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Based on Pedestrian Network

  • 195
151192.jpg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거주지로 부터 교통시설까지 이르는 보행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대중교통 수단별 접근성을 지역적·계층적 차원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간 교통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를 비교하면 지하철의 자치구 간 불평등이 간선버스 자치구 간 불평등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내 이동수단인 지선버스의 지역 내 불평등은 또 다른 지역 내 이동수단인 마을버스뿐만 아니라 지역 간 이동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 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선버스 정류장 배치에 있어 다가구·다세대 거주자들을 위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치구 차원에서는 강남구, 서초구, 은평구, 중랑구에 소재하는 다가구·다세대 주택들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고 자치구 내 불평등도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로 서대문구와 종로구에 속한 다가구·다세대 주택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고 불평등도가 높다. 셋째, 마을버스를 제외한 모든 교통수단에서 일반주택과 임대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대주택의 입지선정 시 특정 교통수단 접근성에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The accessibilities are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each house to the nearest transit facility based on pedestrian network.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omparing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subway and main-line bus, between-region inequality of subway accessibilit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ain line bus accessibility. Within-region inequality degree of branch-line bus is greater than that of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as well as local-line bus, which means more user oriented spatial allocation is needed. (2) In municipal level (administrative gu), while multi-family houses in Gangnam, Seocho, Eunpyung and Jungnang have higher level of accessibility and lower inequality degree, houses in Seodaemun and Jongro have lower accessibility and higher inequality. (3) Accessibility differences between public rental houses and other multi-family houses suggest more spatially unbiased locating of public housing.

Ⅰ. 서 론

Ⅱ.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