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193.jpg
KCI등재 학술저널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An Study on the Cause of Abandoned Vacant Houses

  • 198

지역 경관을 훼손하고, 자원의 낭비와 치안문제를 야기하는 빈집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방치된 빈집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며, 관련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의 빈집 사유 중 ‘기타’로 분류되는 빈집을 대상으로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기타’ 빈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요인, 주택시장상황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은 주택매매가격지수, 가구당 신규주택 비중, 가구당 노후주택 비중은 종속변수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구 증가율, 지역소득, 인구 대비 종사자는 종속변수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도권 및 5대 광역시는 가구당 신규주택 비중과 가구당 노후주택 비중이 종속변수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외)은 가구당 신규주택 비중과 가구당 노후주택 비중이 종속변수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으며, 가구 증가율과 인구 대비 종사자는 종속변수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방치된 빈집을 예방하기 위해서 주택수요가 줄어들고 쇠퇴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재고주택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Housing abandonment contributes to neighborhood decline. It is a significant problem, especially in places facing population loss. However, government have no solution to the vacant houses problems. Also,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es on this top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ousing market conditions on abandoned vacant house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to identif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bandoned vacant houses (‘other vacant’ as a proxy for abandonment)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ousing market conditions factors.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 percent of abandoned vacant houses increases with higher percentages of aged houses and the supply of new houses. They also suggest that the percent of abandoned vacant houses decreases with a number of households and higher percentages of employees. We conclude that these cities should struggle with vacant houses by managing existing house and monitoring house supply.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