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부동산 소비심리의 아파트거래 영향력 분석

A study on the Impact of Property Consumer Sentiment on Apartment Transaction

  • 398
151194.jpg

본 연구는 소비자심리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HLM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거래량에 대한 설명력은 시/군/구 수준에서 61.4%를 차지하고 있어, 주택시장은 지역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아파트거래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합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시/군/구 수준에서는 거주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하였다고 느끼거나 향후 1분기 후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면 거래량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상승에 따라 자본이득 추구를 위한 매도유예와 수요 감소에 따른 거래량감소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시⋅도 수준에서는 지역경제상황을 대변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향후 주택시장을 전반적 분위기를 전망할 수 있는 주택매매소비자심리지수가 아파트거래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거주아파트의 가격상승이 시⋅도 수준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시/군/구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거주아파트의 가격전망은 거래량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 주택가격에 대한 소비자심리는 소비자물가지수와 같은 경제변수와 마찬가지로 아파트 거래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onsumer sentiment on apartment transaction through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Consumers’ perceived current housing prices and future expectations toward their housing prices were used as a consumer sentiment factor in order to explain the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Two-levels HLM was conducted in terms of cities and counties level (1-level) and metropolitan and megalopolis level (2-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61.4% of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was explained on 1-level. At the 1-level, the variables of consumers’ current perceived housing prices and future expectations toward their housing pri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However, consumer’ perceived current housing price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at the 2-level. In addition, future expectation toward their housing prices and consumer sentiment index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 sentiment variables including consumers’ perceived current housing prices and future expectations are likely to b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apartment transaction volume as well as an economic variable such as Consumer Price Index.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과 변수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