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보행 환경 변수를 선정하고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개발밀도가 높을수록 토지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토지이용 혼합 특성측면에서 업무용 부동산 비중이 높아질수록 토지가격은 높아진 반면 산업용 부동산 비중이 높아질수록 토지가격은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보행 편의성 관련 변수를 보면, 상점 용적률 지수와 연결성 지수는 토지가격과 양의 관계를 보인 반면, 가구 밀도 지수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원에 대한 접근성 측면에서 공원에서 멀리 떨어진 토지일수록 그 가격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행 인프라로 볼 수 있는 도로와 가로망의 밀도는 토지가격에 부정적 영향이 컸다. 끝으로, 가로망 특성 3개의 영향을 보면, 국부통합도와 연결도는 토지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통제도는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걷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을 실행하길 기대한다. 아울러 부동산 업계는 가격 프리미엄을 발생시키는 보행 환경을 조성하여 사업 수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Row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play important roles in housing structure because of their inexpensive price and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housing units in Seoul.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a strategic housing plan by analyzing Row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The result from spatiotemporal analysis shows that the stock of row-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were first concentrated in inner city area in 1970s, then the concentration pattern has been spreading out toward urban outskirt until 2007. The result depicts three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generation of the aged inner-city row house and multi-family house stocks should be utilized for an urban restructuring. Because of inexpensive cost of these housing stock, it may provide a large opportunity to expand housing welfare for the urban low and middle classes. Second, the result provides a policy frame for target- oriented programs. Especially, these houses can be well suited for a program which is targeted at housing for college students,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rban regeneration and etc.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the result amalgamated with local data be beneficial to create typologies for substantially customized programs for each cas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자료와 연구방법
Ⅳ. 실증연구 결과와 해석
Ⅴ. 결론과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