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간접자본 중의 하나인 도시철도의 개통과 도시철도역의 접근성이 주택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분석을 적용하여 공간적, 시간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시철도 건설단계별 분석결과 주택가격은 개통 후의 시점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공 후의 시점은 가격상승의 긍정적 효과는 있지만 개통 및 계획 시점보다는 조금 낮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도시철도역 건설 사업이 주변 주택가격에 부정적 효과보다는 긍정적 효과를 더 크게 주고 있다는 의미를 통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건설될 도시철도 및 경전철에 대한 부동산 가격변화 예측에 활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실 거주의 목적뿐만 아닌 투자의 목적에 의해서도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향 값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atial and temporal effects of the opening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which is one of the social overhead capitals, and the accessibility of a metropolitan rapid transit station on housing prices by applying various analy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t each construction stage of the metropolitan rapid transit indicated that the housing prices were the most affected right after the opening. Also, there was a price rise right after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but the price ris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at in the opening or planning stage. In general, the construction project of the metropolitan rapid transit s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s of nearby housing rather than a negative effect. Therefore, it could be used for predicting the changes in real estate prices regarding the metropolitan rapid transit and light rail transit that are to be built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decision making for the purpose of investment as well as for the purpose of actual residenc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이론적 배경 및 분석방법
Ⅳ. 횡단면 시계열 실증분석
Ⅴ. 공간계량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
Ⅵ.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