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도신도시에서의 조망품질 및 공원접근성을 중심으로
- 이진순(Lee, Jin Soon) 김종훈(Kim, Jonghoon) 손양훈(Son, Yang Hoon)
- 한국부동산연구원
- 부동산연구
- 제23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12
- 99 - 121 (23 pages)
본 연구는 개방감, 공원조망성 및 공원접근성과 같은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파트의 물리적 특성(주택규모, 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실거래자료를 이용하여 아파트 가격에 대한 영향요인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환경특성(개방감, 공원조망성 및 공원접근성)의 평균적인 결과(모형 1) 외에 물리적 특성(주택규모, 층 위치)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설명력 있는 결과(모형 1-1, 1-2, 1-3)를 상호작용효과로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개방감 및 공원조망성, 공원접근성은 아파트 가격에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감과 공원접근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택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원조망성이 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both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openness, park view, park accessibility, over apartment price, and whether their influential power could be controlled upon the apartment physical traits (size, floor level).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By using the actual transaction data, the influencing factors of apartment pri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was presented that as interactive effect the explanatory results (model 1-1, 1-2, 1-3) might be influenced by physical traits (size, floor level) other tha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penness, park view, and park accessibility) of the main result (model 1). The result showed that openness, park view, and park accessibility influenced the apartment price positively.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openness and park accessibility over apartment price were moderated by its size, whereas the park view was not statistically moderated by its floor level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델 및 가설
Ⅳ. 분석모형 및 방법
Ⅴ. 실증분석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