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주택가격이 변동성이 강하고 주택은 위험자산일 수 있기 때문에 주택자산효과 추정에 있어 위험회피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구가 레버리지를 결정하는 모형을 사용함에 있어서 실증적으로 타당한 국내 파라미터 값을 활용한 주택자산효과는 상대적 위험회피의 감소함수인 것으로 나타나 해외 선행논문과 일치하였다. 주택자산효과는 덜 위험회피적인 가구들에게 양(+)의 관계이지만 높은 위험회피 수준의 가구들에겐 소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시뮬레이션되었다. 신용제약을 받지 않는 가구의 경우 위험회피 파라미터가 0.1일 때, 100만 원의 주택가격 상승은 소비를 8만 8,000원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담보대출비율 변화에 따른 주택자산효과의 민감도를 테스트한 결과 낮은 수준의 위험회피와 초기 LTV 비율을 가진 가구들이 더 높은 주택자산효과를 경험하는 것을 보여 주는데 이는 신용제약이 덜한 가구들이 추가적인 소비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기지 리파이낸싱을 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별 가구의 미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회피 수준별로 가구들을 3개 그룹으로 분류한 후 주택자산효과를 OLS로 추정한 결과 가장 덜 위험회피 가구의 자산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시뮬레이션 모형과 일치하였다.
The studies of the housing wealth effect (HWE) concer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ption changes and house price apprecia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HWE is dependent upon households’ attitudes toward risk. Using a model in which the household makes leverage decisions with empirically plausible korea parameter values, HWE is a decreasing function of the households’relative risk aversion. The effect is positive for less risk averse households, but it can be negative among households who are highly risk averse. In the case of household with no credit constraint, When risk aversion parameter is 0.1, each one million won increase in home value can increase consumption by 88 thousand won. Households with a lower initial loan to value ratio experience greater HWE. This suggests that households who are less credit constraint are more able to mortgage refinancing to fund extra consumption. And grouping households according to their degrees of risk aversion, we estimate the effect of house price growth on consumption growth for each group. The empirical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model prediction. The HWE varies significantly across groups, and it is decreasing in risk avers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자료 및 분석 모형
Ⅳ. 모수 추정 및 실증분석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