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ce Determinants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in 2012

  • 133
151205.jpg

1989년에 도입된 지가공시제도는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부동산 평가 및 과세, 행정, 제도 등 부동산과 관련된 대부분의 영역에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성조사나 제도개선, 실거래가반영률 관련 연구 등 공시지가제도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연구도 많다. 그러나 아직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형성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으로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결정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표준지공시지가의 가격평가방법 중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거래사례비교법을 통하여 평가된 전국 499,384필지에 대한 거래사례비교법상 가격형성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체 및 도시규모별, 용도지역별, 이용상황별, 지목별, 면적규모별 기술통계량을 분석하고, 각 가격형성요인이 표준지공시지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헤도닉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지공시지가 평가과정상 가격형성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공시지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요인별 영향력에 대해 보다 설명력이 높고 요인간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모형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troduced in 1989, announcement system of land price has played a central axis in the nation’s real estate market, been used as standard of most of real estate-related fields including real estate evaluation, taxation, administration and systems. Different researches on announcement system of land price including characterization research, system improvement, appraisal level(the ratio of appraised value over actual sales price) have been conducted and many of them attained remarkable results.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however, is insufficient and thus there is a need to look into what factors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in its price determination have effected. For this research, analysis of price determinants in cases of 499,384 lots in the nation was conducted through most applied sales comparison approach. In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by national and city sizes, zoning, land use, land classifications and squares of land was analyzed, and how each price determinants has effected th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lso analyzed on hedonic pricing model. This study has purposes of analyzing price determination factors in process of evaluation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nd their impact on actual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What we expect more is that a model analysis which allows more explanation on impacts of factors and more precision of relationships of factors can be done.

Ⅰ. 서론

Ⅱ. 표준지공시지가의 이론적 고찰

Ⅲ. 표준지공시지가의 기초분석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