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의 관련성에 대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Suseong(水城) and Mizuki (水城) - With a focus on the late Mr. Yeongrae Jeon’s research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

  • 22

본고에서는 故 전영래 선생이 전북의 고대산성조사보고서를 편찬하면서 제시한 지도에 기초해 정읍・부안 일대의 백제부흥운동 관련 방어체계와 일본 다자이후(太宰府) 일대에 나당연합군의 침략에 대비해 구축한 방어체계 속에서 나타나는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를 중심으로 그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663년 백강구 전투의 패전으로 백제부흥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일본 북부 규슈에 쌓은 미즈키, 오노 성(大野城), 기이 성(基肄城)은 모두 다자이후라는 관청을 지키기 위해 쌓은 방어시설이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오노 성과 기이 성은 백제의 고관이었던 달솔 억례복류와 달솔 사비복부가 665년에 축조하였는데, 664년에 축조한 미즈키도 백제 유민이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어체계는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 정읍・부안에서도 확인된다. 바로 주류성에 해당하는 우금산성, 중방성에 해당하는 고사부리성, 그리고 수성 등이다. 미즈키가 다자이후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듯이 수성도 중방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하였다. 이러한 추정에는 이곳이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라는 전제 조건이 뒤따르는데 전영래는 일찍이 우금산성을 주류성, 동진강을 백강에 비정하였다. 특히 우금산성에 인접한 고청림사지에서는 지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중앙의 기와 제작기술로 만든 양질의 수막새가 출토되고 있어 우금산성이 주류성에 해당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백제는 지방을 5방으로 나누고 장관직으로 달솔의 관등을 가진 자를 파견하였다. 다자이후의 방어체계를 구축한 백제 유민도 관등이 달솔이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즉 중방성의 지방장관 달솔이 백제부흥운동 시기에 구축하고 경험한 방어체계를 다자이후에 적용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In this paper, a research was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seong(水城) that was constructed as part of defense system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n Jeongeup and Buan, and the Mizuki (水城) that was built in preparation for invasion of Shilla-Tang allied forces against Dazaifu (太宰府) area of Japan, based on the map which the late Mr. Yeongrae Jeon presented for compiling a report on the ancient mountain fortresses in Jeonbuk area. Mizuki, Ono Castle (大野城) and Kii Castle (基肄城) were built all in Kyushu in northern Japan for defending the government office Dazaifu afte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ended in failure following the defeat of the battle at Baekgang-gu in 663. According to 『Nihon Shoki (日本書紀)』, Ono and Kii Castles were built in 665 by Dalsol Eokryebokryu and Dalsol Sabibokbu who were Baekje s high officials. The Mizuki constructed in 664 was also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y Bekje’s migrants. Such defense system as this is confirmed in Jeongeup and Buan, too, the fiercest battle place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t includes Ugeum Mountain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ryu Fortress, Gosaburi Fortress which is equivalent to Jungbang Fortress and Suseong. Just as Mizuki was built to defend Dazaifu, the Suseong was also constructed to defend Jungbang Fortress. This way of presumption entails the premise that this was a fierce battle place for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Yeongrae Jeon earlier compared Ugeum Mountain Fortress to Juryu Fortress and Dongjingang River to Baekgang River. In particular, high-quality convex tiles made by the tile making technology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was rarely seen in the province were unearthed from the site of Gocheonglim Temple, adjacent to Ugeum Mountain Fortress, supporting the view that Ugeum Montain Fortress was Juryu Fortress. Baekje divided the provinces into five Bangs and dispatched to each Bang an official titled Dalsol which corresponded to the rank of ministerial office. This seems to be 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Baekje migrant who constructed the defense system of Dazaifu was a Dalsol. That is, it is highly likely that Dalsol, the provincial minister of Jungbang Fortress, applied his experiences of constructing the defense system during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to Dazaifu as well.

Ⅰ. 머리말

Ⅱ. 다자이후(太宰府) 미즈키(水城)와 백제식 산성

Ⅲ. 정읍 수성(水城)을 통해 본 백제부흥운동의 격전지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