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 中方城의 설치와 고부지역의 통치양상

The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and the Adminstration of Gobu Region in Baekje

  • 123

본고는 백제 5방제 하의 중방성인 고부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고부지역이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되어가는 과정, 고부지역에 대한 백제의 편제방식, 5방제 하의 고부지역에 대한 통치의 양상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편린이나마 문헌 속에 보이는 古沙夫里, 즉 고부지역에 관한 기록을 통해서 고부지역이라고 하는 곳이 백제라는 국가가 영역을 확대해가는 과정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三國史記』 온조 36년조의 古沙夫里城 축조 기사와 『翰苑』 소인 『括地志』의 “國鎭馬韓 地苞狗素”라는 기록에서 드러나듯이 백제의 남방영역확대과정에서 고부지역은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日本書紀』 신공 49년조의 比利 등의 항복 기사와 古沙山 맹서는 백제가 고부를 비롯한 전북지역을 영역으로 확보했음을 의미한다. 古沙夫里城, 즉 고부읍성에 대한 발굴성과와 주변지역의 고분군, 산성에 대한 발굴성과를 토대로 고부지역이 백제의 지방으로서 어떻게 편제되어 나갔는지, 中方城은 어떠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정읍지방에는 모두 18개소의 관방유적이 있는데 고사부리성에 대한 발굴에서 上卩, 上巷銘 瓦가 출토되었고, 고부면과 영원면 일대에서 은선리고분군 등의 횡혈식석실분이 다수 확인되어 고사부리성이 중방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를 중심으로 전략적 요충지에 四方城이 두어졌다가 후에 四方城의 偏在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토의 중앙에 해당하는 지역에 中方城이 두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고부지역이 중요한 교통로이고, 배후에 풍부한 농업 생산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방제 하 고부지역의 통치양상과 관련하여서는 최근 출토된 목간자료를 통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부여 관북리 285호 목간은 중앙에서 中方에 병기를 分與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어, 方이 군정의 측면에서 중앙과 직접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부읍성에서 발견된 ‘上卩〇〇’ ‘〇卩上巷’명 인장와를 근거로 5방성 정도에서는 部-巷制가 실시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部制가 실시되었을 가능성은 높으나, 部 밑에 巷이라는 단위로까지 편제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Gobu region, Jungbangseong(中方城) area in Baekje’s system of five Bang, was integrated into the realms of Baekje, Baekje’s governing style of Gobu region, and the administration style in Gobu region under the system of five Bang. Though the fragments of historical materials were available, I can conclude that Gobu region was the important regional post for expanding the southern territory of Baekje reviewing the records on the Gobu region in the documents such as Samguksaki(三國史記) and Hanwon(翰苑). I reviewed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Gobu region into the Baeje territory as a regional parts and the purpose of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he Gosaburi-seong, that is to say Gobu Eupseong(古阜邑城), and on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he series of Gobun(ancient tombs) and Sanseong(mountain fortress). Jeongeup area has 18 Kwanbang(關防) remains. From the excavation of the Gosaburi-seong, roof-tiles inscribed with Sangbu(上卩) and Sanghang(上巷) were found. In the areas of Gobu-myon and Youngwon-Myon, many Baekje stone chamber tombs were discovered including group of Eunseon-ri old tombs. From these facts, I can infer that the Gosaburi-seong might be Jungbangseong. Baekje might have installed 4 Bangseongs(方城) in the posts of strategic importance. In the afterwards, Baekje installed Jungbangseong at the center of territory for the overcoming the weakness of maldistribution of 4 Bangseongs. The facts that Gobu region provided the important traffic routes and had abundant infrastructures for agricultural productions might have influenced the decisions for installing the Jungbangseong. The condition of administration in Gobu region under the five Bang system was examined simply through the wooden tablet discovered recently. Buyeo Kwanbuk-ri #285 wooden tablet, which recorded the fact that central government provided the armours, can be used for the evidence of Bang’s direct relationship with central government in the side of military policy. The discovery of roof-tiles which have the inscriptions ‘上卩〇〇’, ‘〇卩上巷’ with seal in Gobu Eupseong can be regarded as the eviden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Bu-system(部制), however, it is not certain that Hang(巷) was the lower level administration unit under the Bu(部).

I. 머리말

II. 백제의 남방영역 확대과정과 古沙夫里城

III.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中方城의 설치

IV. 5방제 하 고부지역의 통치양상

V.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