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의 중방성 설치와 그 의미

Baekje’s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and its Significance

  • 164

이 글은 백제 사비시대 5방의 하나인 중방성의 설치와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중방성의 설치 배경, 위치와 범위를 살펴보고 방군성체제 아래 중방성의 역할과 의미를 검토했다. 중방성은 사비시대에 설치되었지만 한성~웅진기 백제의 영역 확장에 있어 부상된 거점이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중방성인 고사부리성은 온조왕 때 처음 확인되었다. 대두성, 탕정성 설치, 원산ㆍ금현성의 설치와 함께 언급되었다는 점으로 보아 백제의 영역 확대에 중요한 지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후 고사부리성에 대한 기록은 『일본서기』神功王后 49년조의 古沙山에서 맹서에서도 확인되었다. 고사산 맹서는 근초고왕 친정 무렵 중방성 권역이 영토로 편입으며, 만경강 이남부터 고창 이북에 이르는 지역의 관장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온조왕의 때 정벌 기사와 신공시 49년조는 유사성이 있었다. 이는 백제가 충남 일원과 전북 일원을 연결해야 하는 지배 거점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이 중방성의 설치로 연결된 것이다. 이후 웅진기에 중방 일대는 동성왕의 벽중왕 파견으로써 백제 중앙의 주목을 받는다. 중앙에서 생산력이 높은 지역을 직접 관리하고자 했던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사료를 통해 중방성의 위치와 중방의 범위에 대해 검토했다. 『삼국사기』지리지에 중방 고사성은 고부군, 도독부 고사주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웅진도독부 7주 지명은 복암리 출토 목간의 묵서에서도 확인되어 백제 멸망 이전의 지방통치체제의 상황을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 자연환경으로 검토할 때 고부천, 정읍천이 지역권 형성에 중요한 분기점이라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보면 중방성은 도독부 7주의 하나인 고사주의 범위에 가까웠을 것이며, 정읍 고부 일대를 중심으로 김제·정읍·부안·고창 흥덕을 포함하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중방성 설치 이후 중방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사비기 중방성은 백제의 중앙인 정읍 고부 지역에 설치되었다. 중방성은 주요 교통로를 관장하고 동진강 수계와 내륙 방어선을 구축하는 역할을 했다. 남방성은 지리적 거리와 방성 간 연계를 고려할 때 광주와 나주 일대일 가능성이 높았다. 중방성은 정읍-장성으로 이어지는 황룡강/영산강 합류 교통로와 연계되었다. 그러나 사비기 신라와의 접경지대가 백제 동남부로 집중되어 중방성의 위치는 동방성과는 거리적 한계라는 취약점이 발생했다. 무왕 때 익산이라는 거점은 방성간의 연결과 5방체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역할도 했을 것이다. 중방성은 사비기 거의 확인되지 않다가 백제 멸망 이후 사비를 둘러싼 故地 탈환 과정에서 중방성의 역할을 강조된다. 금강 이남을 관할하고 남방과 연계성을 갖춘 중방성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거열성과 거물, 사평성이 함락 이후 바로 득안성을 빼앗긴 것은 중간 방어선인 중방성 함락과도 연결되었던 점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alt with Jungbang-seong, one of the five bang-seong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This study discussed the range of Jungbang-seong, discussed changes and trends in the region before the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during the Sabi period and examined the roles of Jungbang-seong. In Samguk 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Jiriji (Geography), Jungbang Gosa-seong is written as Gobu-gun or Gosa-ju, Dodok-bu.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s that the place name, Jugunhyeon Dodok-bu was identified in the calligraphy on the wooden tablet excavated in Bogam-ni and that Gobu-cheon River and Jeongeup-cheon River were important intersections for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sphere when examined by natural environments. Judging from this, Jungbang-seong might be close to the range of Gosa-ju, one of seven ju of Dodok-bu, and was the region, including Gimje, Jeongeup, Buan, and Heungdeok, Gochang, centering around the Go-bu area, Jeongeup. The image during the Hanseong Period before the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could be found in the repair of Wonsan and Geumhyeon-seong and the construction of Gosaburi-seong during the reign of King Onjo, and Pledge in Mt. Gosa-san in Year 49 of the reign of Empress Jingu in Nihon Shoki (The Chronicles of Japan). In the process of expansion of the territory after the annexation of Mahan, this area became an important base for Baekje. Pledge in Mt. Gosa-san in Year 49 of the reign of Empress Jingu was considered an action of the reconfirmation of Baekje’s domination of the center. During the Ungjin Period, King Dongseong’s dispatch of King Byeokjung was related to the trends in this area. By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center through the dispatch of King Byeokjung, changes took place,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mounded tombs in Jisa-ri and Unhak-ri and the burial of the official seal, “○ Euijanggun’s Seal” in Tomb No. 3, Oho-ri Heungdeok Gochang. Jungbang-seong during the Sabi period was installed in the Gobu area, Jeongeup, the area that did not intrude the range of Dongbang and the center of Baekje. Jungbang-seong played the role in controlling the major traffic routes and constructing Dongjin-gang River water system and the line of inland defense. Nambang-seong was most likely the Gwangju and Naju area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the connection between Bang-seong. Jungbang-seong was connected to the traffic route from Jeongeup to Jangseong where Hwangnyong-gang River and Yeongsan-gang River meet. Jungbang-seong’s roles are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reclaiming the old land surrounding Sabi after the Fall of Baekje. This emphasizes the roles of Jungbang-seong, which controlled the south of Geumgang River and was connected to Nambang (Southern region). The loss of Deugan-seong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Geoyeol-seong, Geomul-seong, and Sapyeong-seong was connected to the fall of Jungbang-seong, the middle line of defense, too.

Ⅰ. 머리말

Ⅱ. 중방성 설치 배경

Ⅲ. 중방의 위치와 범위

Ⅳ. 중방성의 역할과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