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적 출토품으로 본 부안 청자의 특징과 편년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y of Buan Celadon seen from Excavated Articles at Historical Sites

  • 187

전북 부안지역은 전남 강진지역과 함께 고려시대 도자기의 생산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안지역 청자가마터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사를 통해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시ㆍ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유천리ㆍ진서리 중 4개소 10기의 청자가마터가 확인되었다. 부안지역에서 생산된 청자는 왕실관련 분묘ㆍ생활유적을 비롯하여 유통 단계에 있는 해저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생산유적과 소비유적의 출토품을 비교ㆍ분석하여 부안 청자만의 조형적 특징을 도출하여 발굴 조사된 청자가마터의 운영시기를 재편년하고자 하였다. 부안 청자의 조형적 특징으로는 첫째, 청자완의 소비는 줄어들었던 반면, 청자뚜껑이나 잔탁과 함께 사용되는 청자잔의 수요는 증가하였고, 높이가 낮은 청자발이 13세기 중반을 즈음하여 새롭게 제작되었다. 둘째, 부안 청자는 음각ㆍ양각ㆍ압출양각ㆍ상감ㆍ철화ㆍ백화ㆍ철백화ㆍ투각ㆍ상형ㆍ철채기법 등 다양한 장식기법이 구사되었으며, 그 중 역상감기법이나 세밀한 음각기법, 철백화기법의 활용은 주목할 만하다. 셋째, 부안지역 생산 청자발이나 통형잔 중 외면에 양각기법으로 연판문이 장식된 경우, 구연 아래로 음각기법의 뇌문대를 돌린 특징이 있으며, 여지문은 음각기법으로 내부에 사격자문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꽃봉오리 문양, 삼각형 연주문에 잎사귀를 붙인 문양, 석류 문양, 참외 문양 등은 부안 청자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문양소재이다. 넷째, 해저유적을 중심으로 굽이 높고 구연이 외반하는 청자발이 확인되고 있어, 이는 선상생활을 위해 특별 생산한 기형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태안 마도 1ㆍ2호선 출수품과 비교를 통해, 부안 진서리 18호 하한 시기와 유천리 7구역의 중심 시기를 13세기 초반으로 수정하고자 한다.

Buan of Jeonbuk is well known as a region which played a key role in producing pottery during Goryeo Dynasty along with Gangjin of Jeonnam. The celadon kiln of Buan began to be researched to the academia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Excavation and research came into full swing from 1990’s and 10 celadon kilns were identified at 4 sites in Yucheon-riㆍJinseo-ri. Celadon produced in Buan was also found in remains at sea floor which were in transportation as well as in royal tombsㆍlivelihood remains.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ㆍanalyze excavated articles from production sites and consumption sites and examined by drawing out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uan celadon and re-chronologize the operating period of celadon kilns excavated. As fo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uan celadon, first, while the consumption of celadon bowls decreased, the demand for celadon lids or celadon cupstands used together with celadon cups increased and low celadon bowls were newly produced in the mid 13th century. Second, Buan celadon employed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such as incisingㆍcarvingㆍimpressingㆍinlayingㆍunderglaze iron-paintingㆍunderglaze slipped-paintingㆍunderglaze iron and slipped-paintingㆍopenwork and techniques of underglaze iron-coating etc. and among them, using reverse inlaying, delicate incising, and underglaze iron and slipped-painting techniques is noteworthy. Third, in case that lotus petals design was decorated on the surface with the craved technique among celadon bowls or tube-shaped cups produced in Buan, they had a feature of wrapping fret design below lip and litchis design was expressed in square-lattice design inside with the incised technique. In addition, budding flower design, leaf design attached to triangular beads design, pomegranate design and oriental melon design etc. are unique motifs of designs which could only be seen on Buan celadon. Fourth, celadon bowls with valgus lip and high foot were found mainly in remains at sea floor and they seem to be irregulars produced especially for life at sea. When comparing with articles from Taean Mado wrecked ship No.1ㆍ2 based on such form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to change the latest period of Buan Jinseo-ri No.18 and the central period of Yucheon-ri area 7 to the early 13th century.

Ⅰ. 머리말

Ⅱ. 생산유적 출토 부안 청자의 현황

Ⅲ. 소비유적 출토 부안 청자의 현황

Ⅳ. 유적 출토 부안 청자의 특징과 편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