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마한의 성장과 익산

The Growth of Mahan Political Body and Iksan

  • 309

익산의 고고학적 자료는 청동기시대부터 마한·백제에 이르는 시기의 유적이 집중되어 있다. 고려시대~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와 지리지에 준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바다를 통해 韓나라 땅으로 와 韓王이 되었고, 韓나라 땅이 바로 익산이며 익산은 馬韓國으로 기록하고 있다. 준왕이 韓나라 땅으로 들어온 기원전 2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유적은 다송리, 평장리, 오룡리, 구평리, 서두리, 신동리, 계문동, 어양동 등 많은 유적이 있다. 하지만, 준왕세력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절멸한다. 이후 한동안 문화적 공백이 발생하는데 이 시기에 고고학적 자료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기원후 2세기가 되면 새로운 묘제인 周溝墓가 축조되기 시작하고 주거지들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마한이 정치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문헌자료와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볼 때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마한 정치체는 건마국, 감해국, 염로국 등 적어도 3개 이상의 정치체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건마국은 금마일대를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며, 감해국은 함라와 함열일대를 기반으로 성장하였고, 염로국은 장신리와 송학동 일대를 기반으로 성장한 정치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小國들이 동시기에 존재하고 있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지금까지 조사된 고고학적 자료로 볼 때 문화적으로는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중심 시기는 기원후 2~4세기로 편년되고 있어 동시기에 지역을 달리하여 분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익산지역 마한 정치체는 기원전 2세기 이전에 등장하여 기원후 4세기까지 정치적으로 독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기원후 4세기 이후에 백제가 마한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면서 익산지역에 더 이상 마한 정치체는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정치적 통합과는 별개로 문화적으로는 5세기이후까지 간촌리, 모현동, 서두리에서 墳丘墓의 전통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마한 재지전통은 무왕대에 익산이 정치적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The archaeological data in Iksan are largely centered on the relics ranging from the Bronze age to the period of Mahan-Baekje. It was recorded in the books of history and geography edited during the eras of Koryo and Chosun Kingdoms that King Jun lost the country to Wiman and came across the sea to the land of Han where he became the king. It was Iksan that was recorded as Mahan State in them. Lots of relics tracing back around the 2nd century when King Jun entered the land of Han are still scattered in Dasong-ri, Pyeongjang-ri, Oryong-ri, Gupyeong-ri, Seodu-ri, Sindong-ri, Gyemun-dong, Eoyang-dong, etc. The power of King Jun didn t last long, though, followed by a cultural gap for a while ever since, for which there are little archaeological data left. Since the 2nd century CE, however, new type of tomb system named Jugumyo (周溝墓) or fosse-girded tomb began to be constructed and the number of settlements increased drastically, signifying that Mahan had grown very strong politically during this age. Judging from the concerned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data, Mahan political body seemed to have grown to embody more than 3 statelets including Geonma, Gamhae and Yeomro. It is presumed that Geonma Statelet formed foundation for its political growth in the area of Geumma, while Gamhae Statelet was based on the areas of Hamra as well as Hamyeol and Yeomro Statelet grew to be a political body on the basis of Jangsin-ri as well as Songhak-dong. Although it is not yet clear whether these statelets had existed simultaneously, they are believed to have shared similar culture with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hitherto examined. Their central period was chronicled to be from the 2nd to 4th century CE during which these statelets were distributed in the different regions, it is estimated. As described above, Mahan political body in Iksan area made an entrance before the 2nd century BC, having maintained its political independence upto the 4th century CE. From the 4th century onward, however, when Baekje Kingdom annexed Mahan political body, it had been no more possible to identify its track in Iksan. Separate from the political annexation, it is confirmed culturally that such tradition as Bungumyo (墳丘墓) or mounded burial system continued until after the 5th century in Ganchon-ri, Mohyeon-dong and Seodu-ri. Mahan s tradition as a local power elite is thought to have served as a momentum for Iksan to grow to be a political center during the reign of King Mu.

Ⅰ. 머리말

Ⅱ. 문헌자료로 본 익산지역 마한 정치체

Ⅲ. 마한의 물질문화

Ⅳ. 마한 정치체의 성장과 쇠퇴

Ⅴ. 마한 정치체의 위치비정과 마한문화의 지속성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