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architectural sites of Baekje dynasty in Iksan

  • 158

왕은 7세기 초반 익산지역에 미륵사와 제석사, 왕궁리유적 등을 조성하였다. 물론 당시의 왕도는 부여였지만 무왕은 대규모 토목·건축사업을 일으킬 정도로 익산지역에 지극 정성을 보였다. 익산지역에서는 부여지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이들 기술력은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곤 하였다. 비록 나라는 멸망하였지만 백제 장인들의 꿋꿋한 생명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고고자료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왕궁리유적에서 확인된 양 방향에서의 대지 조성은 급경사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백제 특유의 토목공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탑 축기부에서 관찰된 공법은 축기부 판축토에 버금가는 새로운 토목기술임을 파악할 수 있다. 미륵사지 금당지에서 관찰되는 기단석 내부의 空洞化나 결구기단 등은 통일신라기의 감은사지에서도 찾아지고 있다. 또한 고주형 초석과 적심시설 등은 조선시기의 광한루나 동대문 운동장 부지 유적 등에서 살펴지기도 한다. 익산지역에서 관찰되는 일부 건축기술은 당에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토목·건축 기술은 백제의 내재적 발전을 통해 창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익산지역에서의 백제 건축물 조사에 따라 좀 더 다양한 토목·건축기술이 등장할 것이라 생각된다.

King Muwang constructed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and Wanggungni Historical Site in Iksa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time was Buyeo but King Muwang had such a great interest in Iksan that he ordered large scale public works·construction work to be performed in the area. In Iksan,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Buyeo appeared.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unified Silla after Baekje fell. We can get a sense of full vitality of master artisans of Baekje through above mentioned historical sites. Construction of site in both directions found in Wanggungni Historical Site seems to be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is unique to Baekje and made good use of steep slope. Technique of the soil and stone are mixed observed in reinforcing facility in east and west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is new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comes close to solid soil in reinforcing facility. A hollow and gyeolgugidan(結構基壇) in Gidanseok observed in the main building of Mireuksa temple site is shown in Gameunsa Temple site built in unified Silla. High cornerstone and Jeoksim facility(積心施設) are observed in Gwanghallu built in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site in Dongdaemun Stadium. Some construction techniques observed in Iksan seem to have imported from Tang Dynasty. However, most public works·construction seem to have been created by Baekje s development. It appears that a study of buildings of Baekje in Iksan will reveal various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Ⅰ. 머리말

Ⅱ. 익산지역 신 토목·건축 기술의 사례 검토

Ⅲ. 익산지역 신 토목·건축 기술의 건축고고학적 의미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