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새만금의 고환경과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

Paleoenvironment of Saemangeum and Probable Relict of Buried Cultural Property

  • 56

‘새만금’은 1991년에 착공되어 2010년까지 군산, 고군산군도, 부안을 잇는 33.9㎞의 방조제를 축조하는 사업이다.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조사는 방조제가 거의 완공될 무렵인 2008~2009년에 걸쳐 지표조사가 진행되었다. 지표조사 결과 내부 개발지에서 확인된 유적은 없었다. 그러나 새만금 방조제 안쪽인 야미도 해상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의해 3차에 걸친 수중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은 수차례에 걸쳐 제기된 바 있다. 이 글은 기존에 발표된 내용을 근간으로 세부적인 접근을 통해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매장문화재 유존가능성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첫째, 고지형 분석을 통한 유적 유존가능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동남해안 지역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신석기시대 조기 단계 유적 유존 가능성이 있으며, 왕등도 해역에서 채집된 맘모스 뼈의 존재는 서해해저에 구석기시대 유적의 존재 가능성도 있음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안항로에 대한 인식이 전제된 접근이 필요하다. 고군산군도에도 신석기시대 후기~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패총이 확인되며, 야미도 해저에서 수습된 홍도 2점은 항해 과정에서 유실이나 침몰 등을 상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이용되어온 연안항로는 바다에 대한 제사나 조운, 왜구의 약탈 등 다양한 형태로 새만금 내부개발지에 남겨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내부개발지의 변화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향후 간척지 내부의 개발과정에서 매장문화재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started in 1991 and 33.9 km-long seawall, as part of the project, was constructed in 2010 connecting Gunsan, Gogunsan Archipelago and Buan Frorn 2008 to 2009 when the seawall was almost completed, an earth surface investigation began in the reclaimed land inside the seawall in preparation for excav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y. Altbough the investigation discovered no relic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continued to conduct 3 times underwater excavation Surveys on the sea of Yami Island within the Saemangeum Seawall. Besides, question have been raised several times asking about the probability of cultural property buried in the reclaimed land of the seawall. The present paper tries to make depth approaches to developing a theory of probability that cultural property rnight be buried inside the reclaimed land in reference to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past. First, it is needed to exmine the possibility of relict by means of paleogeomorphological analysis. ]udging from the examples of Southeast seacoast regions, there may probably exist the relics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ere. Furthermore, it may be said that the bones of mammoths collected on the waters of Wangdeung lsland can attest to the probable relict 。f the Paleolithic Age on the seabed in the West Sea. Second, it seems necessary to approach to this issue from the viewpoint of coastal route. Since the shell mounds to come under the later period of Neolithic Age or Bronze Age were discovered on the Gogunsan islands and 2 pieces of red peach were collected from the seabed of Yarni Isl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y were lost or sunken together with the boats which were sai!ing through the route. Besides, it can also be estimated that the relics were left from worship ceremonies to the sea, during marine transportation, or from pilllage by Japanese pirates, taking place along the coastal routes that had been continususly used since the age of Three States. The changes in the internal area of Saemangeum Seawall art still progressing. It is therefore requested to pay continued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relict of buride cultural property in the land to be rechlaimed inside Saemangeum Seawall and thus to take systematic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is connection.

Ⅰ. 머리말

Ⅱ. 고환경과 인간 활동영역의 변화

Ⅲ. 새만금 주변지역의 매장문화재 분포

Ⅳ. 조운로로서 새만금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