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279.jpg
KCI등재 학술저널

Q 방법론을 적용한 재즈공연 관객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Jazz Performance Audiences Using Q Methodology

DOI : 10.52564/JAMP.2020.53.5
  • 593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개최되는 재즈공연 관객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모집단을 구축하기 위하여 ‘재즈공연에 관한 사람들의 생각’으로 큰 주제를 정하고, 해당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거쳐 최종적으로 38여 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관심 추구유형이다. 본 유형은 평균 한 달에 1회 이상 재즈공연 관람을 할 만큼 재즈공연 관람을 일상적 여가활동의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유형은 재즈공연 관람에 앞서서 뮤지션과 공연에 정보를 숙지하는데, 그 방식은 동호회와 SNS 같은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고 있었고, 공연 관람에 있어서 팬사인회와 같은 재즈 뮤지션과의 정서적 교감 욕구가 큰 편이며, 이런 경험을 특별하다고 여겼다. 둘째, 일반적 관심 추구유형이다. 본 유형의 관객들은 재즈공연의 관람을 일상적인 것이 아닌 특별한 경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인데, 재즈공연 관람은 특별한 날 친한 지인과 함께 누릴 만한 가치 있는 색다른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셋째, 자아 가치 추구유형이다. 본 유형은 재즈, 클래식을 대학에서 전공한 부류인데, 주관이 뚜렷하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사람들로서, 재즈공연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아티스트의 명성보다는 공연의 음향, 조명, 영상, 공연장 음향 설계, 연주자의 기량, 공연장의 시설수준과 접근성 등 공연상품의 전반적인 퀄리티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재즈관객의 유형을 질적인 연구방법론인 Q 방법론을 통하여 밝혀내었고, 이를 통해 개별 재즈관객 유형에게 적용할 수 있는 공연기획상의 마케팅믹스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eply analyze the subjective attitude of jazz performance audiences in Korea using Q methodology. In order to establish a population for the research, we decided ‘People’s mind about jazz performances’ as the main topic and finally selected a Q model consist of 38 statements after having a depth interview with corresponding experts. Additionally,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we implemented a Q-sorting and individual interview to total of 27 people including people majored in music, jazz club members and other citizens. The result we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a musical-interest oriented type. People of this type understood watching jazz performance as a daily leisure activity and went to watch a show more than once a month on overage. Those people obtained information of performances and actors before attending a show using social network such as SNS and jazz clubs. They also had a big desire to have an emotional interaction with jazz musicians while having a fan signing event or performance. Secondly, a general-interest oriented type. This type of people had a tendency of considering watching a jazz performance as a especial experience and not a daily life event. Attending a jazz performance was a novel experience which could be done with their close friends in a special day. Thirdly, people with self-value oriented type. This people were majored in jazz and classic in their universities. As they had a concrete perspecti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y were more sensitive on the general quality of the performances such as show’s sound, light, video, sound system of the theater, player’s ability, level of facilities, accessibility, etc. rather than the reputation of an artist. This research did not only revealed jazz audience’s subjective tendency using Q methodology but also demonstrated the types of jazz audie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could be a meaningful study for suggesting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marketing mix of performance planning on each jazz audience type.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결과해석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