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원불교의 미륵사상

Maitreya Ideology of Won-Buddhism

  • 52

미륵불은 말법시에 출세하여 용화회상을 열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래불이다. 이러한 미륵불 사상은 B.C 2세기에서 A.D 2세기 무렵에 대승불교인들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파악된다. 미륵불사상은 종교적으로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많은 파장을 일으키며 끊임없이 역사 속에서 맥을 이어왔다. 특히 한국에서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교사 및 한국역사에서 그 비중과 의미가 상당하다. 정치 사회적 격동기라 할 조선조말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에는 신종교들에 의해 미륵불 대망의 바람이 크게 소용돌이쳤었다. 원불교의 미륵사상은 교조인 소태산의 미륵불관과 용화회상에 대한 논의에서 그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소태산은 전통적으로 해석해온 미륵사상과는 달리 법신불의 진리가 크게 들어나는 것을 미륵불의 출현으로 보고, 처처불상 사사불공의 대의가 널리 행하여지는 것이 용화회상의 모습이라고 하면서 크게 밝은 세상의 도래를 전망하였다. 이는 인격불에 의존했던 신앙의 양태를 주체적 신앙, 진리적 신앙으로 전개해 나아갈 것과 인류의 대망인 낙원세상을 깨달은 자들의 희망공동체 안에서 건설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Maitreya is the future Buddha who is believed likely to come into being during the last term of Buddhist doctrines, deliver Yonghwa sermons and save mankind. This is so-called Maitreya ideology which is known to have been materialized for the first time by Mahayana Buddhists in around 2 B.C. through 2 A.D. Maitreya ideology has remained alive throughout the history giving ceaseless rise to not only religious but also social and political controversies. In Korea particularly, it has exercised a great deal of impact on the Korean and Buddhist history from ancient times upto now.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political and social unrest starting from the end of Choseon Kingdom to Japanese colonial rule, newly emerged religions caused torrent whirlpool of fever for Maitreya. The true aspects of Maitreya ideology in Won-Buddhism may be found in the discussions about Yonghwa sermons and view of Maitreya by the Great Master Sotaesan, the founder of Won-Buddhism. Unlik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Maitreya ideology, Sotaesan viewed the drastic enhancement of the truth of Dharma-kaya Buddha as appearance of Maitreya, praising the wide practice of the great cause of Where is Buddha, There is Buddhist Prayer which is comparable to the real shape of Yonghwa sermons with a grand outlook of coming bright world. This may be understood as signifying that the belief should develop from the old pattern which relies on personal Buddha to the independent and truth-oriented belief and that the paradise should be built within the community of the hopefuls who are enlightened to the new paradise world.

Ⅰ. 서언 : 미륵사상의 원류

Ⅱ. 한국의 미륵사상

Ⅲ. 원불교의 미륵사상

Ⅳ.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