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익산 왕궁성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와 논쟁점

A Study on the Structure of Iksan Royal Palace and Point of Issues

  • 360

익산 왕궁성은 고대 도성의 핵심 시설인 왕궁의 모습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는 점에서 백제도성은 물론 삼국시대 도성을 연구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익산 왕궁성은 궁성 내부에서 전각 건물뿐만 아니라 정원 및 후원, 화장실, 공방 등이 확인되어 삼국시대 궁성에서 내부 공간의 구획 및 활용 양상을 밝힐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로 볼 수 있다. 익산 왕궁성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이어진 구릉 상에 대규모의 성토를 통하여 동서 방향으로 축대를 쌓아 공간을 일정한 비율로 구획한 후에 중심 건물들을 배치하였다. 궁성 내부 공간은 동서석축 4를 기점으로 하여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된다. 전반부에서는 다시 4개의 동서석축에 의하여 4공간으로 구획한 후에 다수의 중심 건물들을, 후반부에서는 자연지형을 살려 북동편의 고지대에는 신성한 공간인 후원이, 북서편의 저지대에는 공방과 화장실을 배치하였다. 익산 왕궁성은 백제말에 초축되어 고려시대까지 7단계에 걸쳐 운영되었다. 이 단계에서 궁성의 중심공간에 사찰이 들어서면서 궁궐 담장은 사찰의 담장으로 유지되어 왔었다. 궁성은 백제 위덕왕(威德王 : A.D. 554∼598년)대에 계획되었으며, 무왕(武王 : A.D. 600∼641 년)대에 대형 전각 건물, 1동 2실 구조의 건물을 축조하여 비로소 궁성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다가 무왕 사후 의자왕(義慧王 : A.D. 641∼660년)대에는 궁성 중심 건물을 부분적으로 파괴한 후에 목탑-금당-강당의 1탑 1금당의 가람배치를 한 사찰이 들어섰고, 이 사찰은 안승의 보덕국(報德國 : A.D. 670∼684 년)이 금마에 들어서면서 한차례 변모되었다. 이후 후백제(後百濟 : A.D. 892∼932년)의 견훤이 완산주(전주)에 도읍할 즈음에 5층석탑과 금담을 새로 지어 사찰의 명맥이 유지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궁장은 사찰의 담장으로 변용되어 유지되었다가 동측 담장에 고려시대 건물지가 들어서면서 궁성은 완전히 폐기되었다. 익산 왕궁성의 궁장은 평지에 자리한 동아시아의 궁성과 달리 구릉이라는 입지 조건으로 인하여 대규모 성토, 동서방향의 축대에 의한 공간 구획 등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독특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구간별로 궁장 및 부속시설의 규모냐 축조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궁장의 구조도 일본의 고고이시 산성과의 관련시커 설명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형건물지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건물지와 시설들은 조성 및 운영시기, 상부구조에 대해선 새로운 견해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궁성 전반부의 건물들은 남북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성이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특정 건물이나 시설을 기준으로 하여 쌍을 이룬 세트 관계가 확인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리고 익산 왕궁성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중국제 정자편의 연대, 사찰명 명문와의 선후관계, 「首府」명 인장와의 제작 시기와 의미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개별 유물에 대한 세부적인 형식 분류 및 편년도 다듬어져야 한다. 특히 백제 멸망을 전후한 시기에 나타나는 과도기적인 문화상에 대한 이해도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익산의 고대 도시 체계는 고지형분석뿐만 아니라 부여 사비도성과 비교 및 검토를 통하여 논의되어 왔다. 이는 익산 왕궁성을 중심으로 하여 제석사지-쌍릉-익산토성-도토성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왕궁을 포함한 중심 취락 구역, 이 뒤편에서 미록산-용회산에 걸쳐 금원 구역, 쌍릉의 왕릉 구역과 미륵사지의 왕실사찰 특별 구역, 익산 서편 및 남동편에서 비교적 낮은 지대에 일반인이 거주하는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Iksan Royal Palace is very important in investigating the castle town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long with Baekje Castle Town because it preserves the appearance of the royal palace, the key facility in the ancient castle town, relatively well. In particular, it marked a milestone in identifying the structure and purposes of spaces inside the palace including gardens, backyards, toilets and workshops as well as the royal palace itself on the royal palace property. Iksan Royal Palace located the main building by large scale mounding on a hill spreading northeast to southwest and division of the space in a certain ratio with the east-west axis. The space inside the palace is divided into the front and rear section with 4 east-west stone walls. The front section is divided into 4 spaces by 4 east-west stone walls. The rear section comprises the backyard, the holy space on the hillside on the northeast by using the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and workshop and toilet, the negative spaces on the lowland on the northwest. Iksan Royal Palace was built at the end of the Baekje period and used 7 times until the Goryeo period. As the temple was established in the central space in the royal palace in that process, the palace wall became the temple wall. The royal palace was planned during the reign of King Wideok s reign in the Baekje period (AD 554~598) and secured the complete form by building 1 large royal palace with 2 rooms during King Mu s reign (AD 600~641). During King Uija s reign (AD 641~660) after the death of King Mu, the main palace building was partially destroyed and the temple was built with 1 main building and 1 pagoda in the arrangement of the wooden pagoda, the main building and the assembly hall. The temple was renovated when Bodeok State of Ahn Seung (AD 670~684) was established in Geumma. Since then, the temple kept its position by building the main building and 5-story pagoda as Gyeonhwon in Hubaekje (AD 892~932) set up the capital in Wansanju (Jeonju at present). In that process, the palace wall was used as the temple wall. Then the royal palace was completely destroyed as the new construction was planned during the Goryeo period. Iksan Royal Palace wall had a unique feature in terms of large-scale mounding due to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 hill different from the royal palaces in East Asia standing on the flatland, and the spatial structure using the east-west axis. It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terms of dimensions or building methods of the palace walls and auxiliary facilities by section. Recently, a variety of opinions has been presented on the structure of the palace wall including the insistence on the connection with the Kogoishi Fortress in Japan. Furthermore, a part of a facility found under the 5-story pagoda seemed to be a well or a catchment basin. It is estimated that the second space in the front section in the royal palace with the facility was used for ancestral rites or ceremonies related to water. Diverse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on the formation, period of usage and upper structure in the building sites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large building site identified on the front section in the royal palace. In particular, the buildings in the front section of the royal palace drew attention with the pair structure based on a specific building or facility without bilateral symmetry based on the south-north central axis. The ancient city system in Iksan can be investigated by analysis of ancient geographical features and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Sabi Royal Palace in Buyeo.

Ⅰ. 서론

Ⅱ. 궁성의 공간 구획 및 활용

Ⅲ. 궁성의 변천 과정

Ⅳ. 궁성의 구조를 둘러싼 논쟁점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