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서울디지털 산업단지의 경영자와 종사자 의향 분석을 통한 재생 정책 연구

A Study of Regeneration Policy through an Analysis of Questionnaire of Employee and Employer in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 29
151209.jpg

이 논문은 지난 10년, 재구조화과정을 거친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분석으로 문제점, 개선과제를 도출함으로써 그동안 산업단지내부 지역에 한정된 산업정책차원의 개선방향제시에 그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산업단지 내·외부 및 도시발전과 연계된 대도시 산업단지의 종합적, 통합적, 장기적 재생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검토는 물론, 디지털산업단지의 변화과정 및 해외산업단지의 재생사례를 비교분석하고 경영자, 종사자의 의향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엄청난 양적, 질적 고밀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른 도로, 교통시설 및 공원 녹지, 광장 휴식 공간 등 확보, 주거, 산업, 문화 복지 등이 조화된 복합기능 도시조성 등 물리적 환경개선이 시급하다. 산학연 연계 및 네트워크화, 지역혁신체계구축, 기업지원종합서비스 체계, 인력양성지원 등 경쟁력 있는 단지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행정체제의 일원화 규제완화 및 특구지정, 로컬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 글로벌 대도시경쟁체제에 걸맞은 중앙집권보다는 지방분권적, 산업정책 보다는 도시정책 중심의 법과 제도 시스템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to derive a long-term regeneration-developmental direction of Industrial complex and surrounding city. The research result is derived from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questionnaire of employee and employer. The finding is that all of road, transport facilities, park, plaza, resting place, residence, culture and welfare, etc. are needed urgently to improve the current circumstance and environment. To improve these issues, we have to prepar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business support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the human resource support, appropriate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local governance system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변화과정

Ⅳ. 해외산업단지 재생사례고찰

Ⅴ. 경영자와 종사자 의향분석

Ⅵ. 종합재생 정책 방향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