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212.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형할인점과의 거리요소가 소비자 방문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tance to Large-scale Discount Store on Visit-frequency of Consumers

  • 41

본 연구는 대형할인점과 거주지 간의 거리가 할인점의 방문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분석과정에서는 할인점의 입지 관련자료와 소비자의 가구자료 등을 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거리요소가 소비자의 할인점 방문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권 대형할인점은 지하철역에 근접하여 입지하는 성향이 강해졌으며, 이는 할인점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입지 검토시 이용자의 접근성을 중시하는 성향이 점차 강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대형할인점과의 거리가 소비자의 할인점 방문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권역별로 비교한 결과, 서울권의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대형할인점의 입지에 따라 거리가 방문횟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점은 향후 유사 유통시설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고객의 방문이 결국 할인점의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입지 선정시 고객의 교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distance on visit-frequency. To analyze this, this study implemen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location data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household data of consum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revealed that first, large-scale discount stor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prefer to locate near the subway station. Second, this study compared effects of distance on visit-frequency by regional groups. Results of the comparisons show that sensitivity of Seoul metropolitan area is greater than other regional groups. These differences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distribution facilities. And,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customer s visiting and sales of discount store, large-scale discount stores need to prepare some strategy to reduce customer s transportation costs when they select site location.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 연구

Ⅲ. 대형할인점의 현황

Ⅳ. 실증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