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R리츠와 주식시장/채권시장간의 상관관계를 공적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CR리츠는 일반리츠와 비교할 때 운용기간이 5년으로 제한되어 있고 기업구조조정과 관련된 부동산에만 투자하도록 하는 등 운용면에서 규제를 받고 있다. 하지만 세제혜택면에서 일반리츠에 비해 유리한 편이다. 또한 투자자들에게 유동성 또는 환금성을 제공하기 위해 주식시장에서 상장해야 한다. 연구대상은 KOCREF I, REALTY, MERITZ, KOCREF III, MACQUARIE CR-리츠 5개종목이다. 주식시장 변수는 종합주가지수이며 건설업지수이며 채권시장 변수는 3년 만기 회사채 수익률을 이용하였다. 이변량 공적분 분석결과 대부분의 경우 CR리츠와 주식시장 그리고 채권시장간에 공적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공적분 분석결과에서는 KOCREF 1경우를 제외하고는 공적분결과가 발견되었다. 오차수정항모형 분석과 분산분해분석 실증결과는 CR리츠 자체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CR 리츠는 주식시장과 채권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아 분산투자수단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ITs and stock/bond markets. CR-REITs differ from ordinary trust structurein terms of limited operating period and its portfolio of assets. The CR-REITs should invest only in the specified real estates. The life span of CR-REITs is limited.This study tests whether CR-REITs - KOCREF I, REALTY, MERITZ, KOCREF III, and MACQUARIE -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common stocks/bond or not, using the co-integration analysis and error correction model.The empirical tests show that, for the bivariate cointegration, there is no cointegrating vector between REITs and stock/bond marketsexcept for MERITZ-construction sector index. However, for the multivariate cointegration, at least more than one cointegrating vectors for each CR-REITs are found. The error correction models show that, for MERITZ, and KOCREF III, there is a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For REALTY and MACQUARIE, however, there is not a long-term relationship. And in two of CR-REITs, a short-term lead/lag relationship with bond markets is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ITs and financial markets may depend on characteristics of REITs. In addition, the evidence found in this paper suggests that REITs provide a useful way to diversify portfolio.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Data and Methodology
IV. Empirical Results
V. Conclusio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