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측량 업무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파악하여, 업무량 집계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지적공사 업무량 집계 방법을 계량적 방법인 시계열 모형 검정(Granger Causality and VAR Model analysis)을 통한 최적의 모형을 제공하여 일반업무 총업무량에 대한 예측 참고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성과물로는 지적측량 일반업무량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변수의 도출(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한 인과관계 도출)과 환경변수 변화에 따라 일반업무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VAR 검정 결과물(충격반응함수 및 예측오차분산분해 분석결과)이 있다. 또한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위근검정 결과와 시계열 모형 검정을 통한 일반업무 업무량에 대한 최적의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적측량업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최적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량적 방법이 적용된 통계적 분석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부동산시장과 지적측량업무량간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정책적 참고 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cadastral survey work load and preparing the useful material as the work load adds up the annul forecas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deal forecasting model of cadastral survey work load through the Economeatric Analysis of Time Series, Granger Causality and VAR Model Analysis, it suggested the forecasting reference materials for the total amount of cadastral survey general work load. The main result is that the derive of the environment variables which affect cadastral survey general work load and the outcome of VAR(vector auto regression) analysis materials(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materials), which explain the change of general work load depending on altering the environment variables. And also, For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ime series data, we took a unit root test, ADF(Augmented Dickey-Fuller) analysis and the time series model analysis derives the best cadastral forecasting model regarding on general cadastral survey work load. And also, it showed up the various standards that are applied the statistical method of econometric analysis so it enhanced the prior aggregate system of cadastral survey work load forecasting.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연구
Ⅲ. 계량경제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