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육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al Policy on the Housing Market

  • 73
151221.jpg

본 연구는 2004년 2월 17일 발표한 교육정책이 강남과 강북의 주택시장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17교육대책은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2008년부터 대입제도의 개선과 교육방송에 수능강의 반영 등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지역은 서울의 강남구 대치동과 노원구 상계동을 사례로 선정하여 교육정책 발표 이후에 두 지역의 아파트 가격과 전세가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와 중개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택시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새로운 교육정책으로 인하여 강남의 주택매매가격은 영향이 없으며, 전세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더 많이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s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olicy issued in Jan 17, 2004 on the housing market in the Kangnam and Kangbuk districts of Seoul. The 2·17 Measure was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lower parents burde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with a focus on the plan to improve the examination for college entrance to minimize the scores of th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select new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cords in the unofficial report since 2008 as well as EBS s broadcasting for th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study adopted as its place of investigation Daechi-dong Kangnam-gu and Sangkye-dong Nowon-gu. A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ales and rents of apartment housing in both district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for real estate brokers and residents and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easure on the housing mark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the educational policy can stabilize the rented apartment housing market in the Kangnam district. But it has some limitation in stabilizing the apartment housing transaction market, which indicates that the housing policy or interest-rate policy should be mobilized. The last chapter suggests the directions of improving those clauses at issue and suggests the author s opinions.

Ⅰ. 서 론

Ⅱ. 교육정책과 연구사례지역의 특성

Ⅲ. 정책에 따른 주택시장의 영향분석

Ⅳ.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