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업도시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법적 검토

A Legal Review on the Publicness Securement of Company City

  • 21
151223.jpg

기업도시는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개발하는 도시다. 산업시설은 물론 주택, 교육, 문화가 갖추어진 자족적 복합기능의 도시이다. 때문에 기업도시 건설은 투자를 활성화시킨다는 근본취지 외에도 일자리 창출과 균형발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난 12월 9일 「기업도시개발특별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여기에는 기업에 토지수용권 부여, 개발이익 환수 배분, 출자제한 총액 완화 등 다양한 지원책들을 담고 있다. 재계에서는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는 만큼 이를 담보할 확실한 장치들을 요구하고 있으나, 시민단체에서는 재벌에 대한 특혜를 부여하는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등 기업도시 건설에 대하여 ‘공공성 확보’ 논의가 팽팽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도시의 성공이 기본적으로 기업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운영될 수 있어야 함도 감안하여야 할 것이나, 기업이 개발주체가 된다는 측면에서, 예컨대 헌법상 “공공의 필요”에 의해서만이 토지수용이 허용된다는 일면에서도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통제 장치는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기업도시 건설은 공익임에 분명하다. 기업도시 건설이 기업의 사익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경제와 균형발전에 공익으로 순환되기 위해서는 그 수단과 방법에 대한 향후 입법자의 신중한 형량(衡量)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기업도시개발특별법안이 기업의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단기적인 특별 법률이기 보다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진정한 자족도시가 될 수 있도록 실체적인 부분들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Company city is the city that company lead directly development plan and process related to urban construction. It is the self-sufficient complex function city equipped house, education, culture and industrial facilities as well. So, the construction of company city will be able to expect some effects such as the active investment for construction, the creature of job opportunity and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Special Act on development of Company city」 was enacted at the national assembly in 9th December 2004, This Act contains a sort of support systems like that: the endowment of land expropriation to company,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benefit redemption and the mitigation of total financing restriction sum, etc. The construction of company city is at present in controversy with publicness Securement. That is, company demand reliable systematic apparatus to assure a huge amount of capital investment. On the other-h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however, insist that it is just to render a preference to great financial conglomerates. The success of company city basically belongs to make a profit creation. Nonetheless, systematic control tools must be prepared to ensure the publicness in developing company city. Because land expropriation only ought to be permitted in the case of the public need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of company city must be common profit. Based on this concept, lawgivers should consider the means and methods that Company cit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and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 And then, 「Special Act on development of Company city」 should be expected not to be a temporary law for inducing only company investment but to complement the regulations so as to be self-sufficient city and sustain the company competition continuously.

Ⅰ. 머리말

Ⅱ. 기업도시의 개념 및 필요성

Ⅲ. 기업도시개발특별법의 법적 쟁점

Ⅳ.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