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3~4세기 호서지역 (주구)토광묘 연구

A Study on (Jugu) Togwangmyo in the Hoseo Area during the 3~4 Centuries

  • 314

본 논문은 3~4세기 호서지역의 주 묘제인 단순토광묘·주구토광묘의 비교 및 지역적 양상에 대한 연구이며, 묘제의 차이는 계통적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개념에 부합하여, 단순토광묘, 주구토 광묘, 분구묘(주구묘)의 용어를 구분하였다. 지역적 양상은 하천수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무 덤을 구성하는 세부속성 분석 및 비교를 시도하였다. 호서지역 (주구)토광묘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는 먼저, 원저단경호와 발형토기의 세트조 합이 있다. 지역에 따라 조합비율이 다르지만 남한강, 미호천, 곡교천유역의 대부분은 50%이상을 차지하며, 단순토광묘에 비해 주구토광묘에서 비율이 좀 더 높게 확인된다. 이러한 조합관계 는 서북한지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영남지역 경주 덕천리 유적에서 확인되는 조합구성 과도 매우 유사하다. 다음으로는 목관과 목곽의 결합구조, 다양한 관, 곽의 결합형태, 다수의 합장묘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매장시설 및 방법 역시 서북한 지역과 매우 유사하며, 한반도 내에서 이 지역이 유일하다. 세 번째는 다양한 청동제품의 출토가 있지만 그 중에서 청동제 마형대구의 출토이다. 마형대구는 마한의 권역에서는 이 일원에서만 출토되며, 매우 한정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마형대구의 분포권은 아산만에서 천안, 청주를 거쳐 상주, 영남지역까지 연결되는 양상을 띠며, 마치 주요 교통로를 따라 이어지는 선형적 분포를 띤다. 마형대구는 마한을 상징하는 위세 품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공반유물 및 무덤의 규모 등 비교결과, 위세품으로 부장되기 보다는 마형대구를 소유하던 집단에 대한 상징적 물품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3가지 특징적인 양상은 (주구)토광묘 축조집단의 부장관념 및 장법과 관련 있으며, 서북 한지역 및 영남지역과의 유사성은 단순히 문화의 교류 및 전파에 의한 영향 보다는 집단의 이동 및 이주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까지 직접 관련짓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단순토광묘와 주구토광묘는 여러 속성 면에 있어 구분할만한 차이는 없다. 다만 비교를 통해 단순토광묘에 비해 주구토광묘의 평균적인 규모가 크고 유물부장량 등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점은 어느 정도 주구토광묘의 위계성이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동일한 양상이 나타나는 두 무덤의 계통은 같았던 것으로 보이며, 주구는 좀 더 우월하게 보이기 위한 선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무덤을 통해 본 3~4세기 호서지역은 백제의 영향이전 재지세력의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 (주 구)토광묘를 축조한 세력의 장제적 특징 및 장법, 관념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3~4세기 이전 (주 구)토광묘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단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아 이들의 계통 및 출자와 관련해서는 추후 자료의 증가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다만, (주구)토광묘는 마한의 범주 아래 주 변에 분포하는 분구묘(주구묘)축조세력과는 장법 및 부장관념이 다른 계통임을 보여주며, 백제영 역화 이후의 이들의 전개도 상호관련 보다는 독자적 전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mple togwangmyo (tomb without encircling ditch) and jugutogwangmyo (pit-tomb with encircling ditch), main forms of the tomb system commonly used in Hoseo region or the middle part of South Korea. In accord with the definition that the difference of the tomb system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difference of the tomb system, tombs are classified in this paper into the categories of simple togwangmyo (pit-tomb), jugutogwangmyo and bungumyo (mounded tomb with encircling ditch). By region, the water system is used as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and attempts are made to analyze and compare detailed attributes that constitute the old tomb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jugutogwangmyo in Hoseo area include, first of all, combined sets of wonjeodangyeongho (round-based jar with short neck) and balhyeongtogi (bowl pottery). Although the ratio of combination differs by region, more than 50% of combination is revealed in the majority of tombs in the basin area of Namhangang River, Mihocheon Stream and Gokgyocheon Stream. But jugutogwangmyo accounts for slightly more than simple togwangmyo in the combination ratio. Such combination ratio seems to be related to the region of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country and is very similar to the one found in the relics of Deokcheon-ri, Gyeongju in Yeongnam area 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Secondly, there appear combined structures of wooden coffin and chamber, their combination in various forms, and lots of couple tombs. Such ways and facilities of burial as these also bear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burial found frequentl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a unique one of its kind in the Korean peninsular. Thirdly, particularly significant among other bronze wares which have been unearthed in this area are bronze horse-shaped buckles. This is the onlyarea in Mahan where horse-shaped buckles are excavated, though in the very limited scope. The regions in which horse-shaped buckles were used range from Asan Bay through Cheonan and Cheongju to Sangju in Yeongnam 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in a lineal form of distribution as if the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long a major traffic route. Horse-shaped buckles are believed to be prestige goods symbolic of Mahan state. However, a comparison of tomb sizes and associated relics buried together leads to an assumption that the buckles were rather symbolic of the group who owned them than those buried as prestige goods. The above-mentioned three aspect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cept and method of burial of the group who used (jugu) togwangmyo. Their resemblance to those of the northwe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the peninsular can not simply be outcomes of influence by cultural exchanges and spreads but more likely be results from move and migration of the group. Its direct interrelation is difficult to exactly presume yet, though. There remains little to differentiate between simple togwangmyo and jugutogwangmyo in terms of attributes. However, a simple comparison makes it clear that jugutogwangmyo is bigger in average size than simple togwangmyo and richer in burial accessories, suggesting that jugutogwangmyo may be placed a little higher in rank.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erefore, that the two types of tombs belong to the same lin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same pattern appears repeatedly and that jugu may be only an option to make it look like more superior. The tombs in the Hoseo area during the 3~4th centuries have preserved entirely the culture of the local gentry of the era when Baekje didn t exercise influence upon it, ascertaining the special features, burial methods and perception of the force who constructed (jugu) togwangmyo.

Ⅰ. 서론

Ⅱ. 대상유적의 검토

Ⅲ. 단순토광묘·주구토광묘의 속성검토

Ⅳ. 단순토광묘·주구토광묘 비교를 통해 본 3~4세기 호서지역의 양상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