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주민을 통한 성공적인 마을살리기 사업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ful Community Remaking Project through of Local Residents

  • 90

농촌 마을살리기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설문을 통해 사업 추진 시 희망 사업, 사업 추진시 고려 사항, 사업 추진 및 사후관리 주요 방안에 대한 인식을 기술통계를 통해 확인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마을살리기 사업을 위한 사전 검토 요인분석을 통해 농촌 마을살리기 사업의 활성화 및 추진 주체별 역할, 전문가 컨설팅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파주시 농촌 마을살리기 사업의 성공적 진행을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주민은 농촌 정주 여건 사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진 주체를 주민 주도로 하는 경우를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사업 추진시 사후관리 주요 방안으로는 외부전문가의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진 주체는 주민이 주도하고, 마을의 농촌 정주 여건 개선 사업을 진행 후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기초로 하여, 마을공동체의 대표 단체 구성을 통한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때 성공적인 마을살리기 사업이 될 수 있다.

Through a survey of local residents survey on rural village rehabilitation projects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o identify the desired projects for project promotion, considerations for project promotion, and major follow-up measures for project promotion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an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for preliminary review for efficient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the role of the revitalization and promotion of rural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s, and expert consulting were reviewed. As a resul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ural village rehabilitation project in Paju, first, local residents hoped for rural settlement conditions, and second, most cases were considered to be led by resi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volvement of external experts is important as the main method for post-management during the project promotion. Therefore, it can be a successful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when the management is led by the villager, and after improving the settlement conditions of the village, based on the opinions of external experts, and after the manag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representative groups of the villag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Ⅲ. 연구 설계

1. 연구 범위와 방법

2. 설문의 구성

Ⅳ. 실증 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농촌 마을살리기 사업 경험

3. 분석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