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과 채점을 위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Historical Writing Assessment Questions and Grading

  • 94

이론적이고 당위적인 차원에서 평가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평가 문항 개발이나 채점처럼 실제적이고 현장 적합적인 평가 방안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수행평가의 비율 증대와 과정중심 평가의 강조 추세는 정성적인 평가 요소가 많은 역사과에서 더욱 부담스러운 상황일 수 있다. 이에 채점이나 평가 결과의 처리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그 경험을 축적하여 보다 나은 평가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기 위해, 필자가 2017-2018년 동안 실시했던 역사영화를 활용한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의 채점을 반성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 가운데 ① 사실과 정보를 확인하는 문항, ②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문항, ③ 역사적 사건을 평가・판단하는 문항을 소개하고, 학생 답안과 이에 대한 채점 과정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평가자인 교사는 학생 변별 외에도 학습의 한 과정으로서 평가의 목적에 대해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수업과 평가 전반에 대한 철저한 설계와 안내가 필요하며, 채점 방식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문항 작성의 유의점이나 채점 기준의 강조점이 달라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실과 정보의 확인이나 자료 분석 문항은 정확한 용어의 사용과 명확한 작성 조건을 제시해야 하며, 단순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만으로 문항지를 구성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문항은 학생의 사고를 제한하지 않되, 지나친 허구로 인해 비역사적인 글쓰기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역사적 사건을 평가・판단하는 문항은 주장의 타당성과 근거의 논리성이 아닌 피시험자의 관점을 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셋째, 채점 기준을 명확히 하고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채점 기준은 세분화하되, 각 채점 기준 안에서 등급이나 점수를 촘촘히 구분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채점 기준은 독립적이지만 답안은 종합적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채점 기준 및 급간을 조정하고 채점하는 복합적 루브릭이 필요하다. 넷째, 답안 내용의 평가는 채점자인 교사의 전문성에 달려 있기 때문에, 교사는 내용・수업・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목표-내용-평가의 수업 설계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이 학습과 평가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업 성취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ver the past few years, the process-based assess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school classes, as performance assessment takes up more share. Various evaluating activities involving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re implemented and learners are encouraged to make historic research in history class as well. Our society has a great interest in the assessment process, so it is emphasized to have expertise for teachers in assessment. Particularly, the method of scoring evaluation results is complicated and hard. However, there aren’t enough studies on it. Thus, I examined the scoring of writing evaluation questions that had been conducted in history classes(History movie-based class and evaluation) from 2017 to 2018. I introduced three types of history-writing evaluation questions(question that check facts and information, question that use historical imagination, and questions that assess and judge historical events), and analyzed the students’ answers, scoring process and problems. As a result, we could ga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eachers need to be well aware that evaluation is a part of learning and to design courses elaborately and stud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evaluation in advance. Second, when writing scoring criteria or evaluation items, the type of evaluation item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 scoring criteria should be clear and subdivided. And teachers should create the complex rubric by considering all the cases. Fourth,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e in the course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and by doing this they can develop elaborate teaching designs. And it’s important to have consistency in the objective, content and assessment of the class.

Ⅰ. 들어가며

Ⅱ. 역사 글쓰기 평가 문항의 사례

Ⅲ. 평가 문항별 학생 답안의 채점 및 문제점

Ⅳ.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