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55.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역량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on Job Search 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 3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역량이 구직효능에 미치는 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에 있는 대학교 여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SPSS 23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역량 요인은 목표 수립과 자기조절 , 성공적 수행 상상과 자기대화 , 신념과 가정 분석 , 자기 처벌 , 자기 단서 ‘자기 보상’ 등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소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셀프리더십 역량 요인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목표 수립과 자기조절 요인, 신념 및 가정 분석 요인, 자기 보상 요인에서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과 전공 별 셀프리더십 역량과 구직효능감 변인의 차이 분석에서는 셀프리더십 역량의 목표 수립과 자기조절 요인, 구직효능감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별 분석에서는 셀프리더십 역량 요인 중 목표 수립과 자기조절, 자기 처벌, 자기 단서, 자기 보상 요인에서 전공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관리 역량 변인으로써 셀프리더십 역량은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효한 변인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나 취업 관련 역량 고취를 위해서는 전공별 특성에 맞는 셀프리더십 역량 변인을 선별하여 교육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on job search 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self-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search efficacy,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342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goal setting & self-regulation’, ‘imagination successful & self-talk’, ‘belief and assumption analysis’, ‘self-punishment’, ‘self-clues’, ‘self-rewa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factors were proved. Second, the self-leadership competen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earch efficacy: goal setting & self-regulation factor, belief & assumption analysis factor and self-reward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 efficacy. Third, between academic years, there were differences in goal setting & self-regulation factor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and in job search efficacy. By major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goal setting & self-regulation factor, self-punishment factor, self-clues factor, self-reward fac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mprove the job search efficacy, self-leadership competency is necessar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search efficacy by establishing self-leadership competency training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