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93.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 인권존중 경험과 교육이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

Level of Being Guaranteed on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and Discrimination among Adolescents

DOI : 10.17997/SWRY.64.1.5
  • 879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존중의 차원을 학습을 통한 인권존중 교육과 가정 및 학교에서 경험하는 실질적 정도를 의미하는 인권존중 경험으로 구분하고, 차별행동 완화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6년 진행한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Ⅵ’과제에서 수집된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횡단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7,299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존중 경험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수준에 따라 상 , 중 , 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하 집단은 전체의 8.3%(n=606)로 청소년 열 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로 주요변수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권경험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타 집단에 비해 인권존중 교육의 효용을 낮게 인식하는 반면, 차별행동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집단별 분석 결과 상 , 중 집단에서는 인권존중 교육이 차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 집단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넷째, 모형검증결과, 상 집단에 비해 하 집단은 인권존중 교육이 오히려 차별가해 행위를 1.30배 더 높이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청소년의 차별행동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적 개입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인권존중 경험 역시도 친인권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차별행동 완화를 위한 청소년 인권존중 이슈와 관련한 교육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ive ways in deterring discrimination against others among adolescents by dividing human rights into two parts; education and level of being guaranteed on human rights. Cross-sectional data from 11,108 adolescents were obtain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Frequency, descriptive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ANOVA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ere conducted utilizing Mplus 6.0 and Stata 1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profiles with levels of being guaranteed on human rights in home and school were identified (heareafter high guaranteed group , middle guaranteed group , and least guaranteed group ), and least guaranteed group accounted for 8.7% (n=975). Second, participants with the less level of being guaranteed human rights, the less they felt regarding perceived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Additionally, least guaranteed group was more discriminating others. Third, perceived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had negatively associated with discrimination among high and middle guaranteed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among least guarantee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risk of discrimination among adolescents were discuss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