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49.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ity, Morality, Citizenship and Character of University Students

  • 4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인성 간의 구조 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라북도 J대학교 재학중인 대학생 406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척도, 사회성 척도, 도덕성 척도, 시민 성 척도 및 인성 척도를 사용하여 Spss ver 23.0과 Amos ver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 계,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자아존중감(자기 존중, 지도력과 인기 및 자기주장), 사회성(활동성, 지배성, 사교성), 도덕성(양심, 관용, 공정성), 시민성(민주적 기본질서와 절차 및 사회참여의식), 인성(예절, 존중, 소통, 배려, 책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경험적으 로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사회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사회성이 도덕성에 미 치는 직접적 효과, 도덕성이 시민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도덕성이 인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 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도 표준화 계수가 .485~.849로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앞으로 대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교육내용 및 컨텐츠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도덕 성은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덕성 관련 내용은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공정성과 관용 및 양심은 대학생의 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도덕성의 핵심요인으로 설 명할 수 있어 인성함양 및 교육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공정성이란 편견없이 올바르고 정당 하게 행동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규칙과 규율에 맞게 경쟁·양보·공유하면서 무엇을 판단하기 전에 모든 입장의 의견을 편견없이 경청하는 것으로 도덕적 감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도덕적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올바른 길로 이끌어주는 강력한 내면의 소리로써, 올바르지 못한 행동을 할 때 적절한 죄의식으로 반성하도록 이끌며, 적절하지 못한 유 혹에 직면했을 때도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이끄는 덕목으로 인성함양 및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져 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용은 다른 사람의 존엄과 권리를 존중하고 대하는 덕목으로 타인의 견해 나 신념에 동의는 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존중하면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거부하도록 하는 힘으 로 인성함양 및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 - esteem, sociality, morality, citizenship, and character. To conduct this study, 406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J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SPSS ver. 23.0 and Amos ver 23.0 program using self - esteem scale, sociality scale, morality scale, civility scale and personality scale,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lf-esteem(self-respect,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self-assertiveness), sociality(activity, leadership, sociability), morality (conscience, tolerance, fairness), citizenship(democratic basic order and procedure, Soci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character(manners, respect, communication, caring, responsibility) were empirically matched. The 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sociality, the direct effect of sociality on morality, the direct effect of morality on citizenship, and the direct effect of morality on humanity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485~.849, respectively. In the course of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and contents for enhancing the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morality is an important factor, so moral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particular, fairness, tolerance and conscience can be explained as a key factor of morality that directly affects th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Fairness refers to acting justly without prejudice, competing with rules and discipline, allowing moral sensitivity by listening to all opinions without prejudice before making concessions and sharing, leading to moral behavior. Conscience is a powerful inner voice that judges right and wrong and leads them to the right way, leads them to reflect in appropriate guilt when they do wrong behavior, and teaches them to cultivate humanity with the virtue that leads them to act correctly when faced with unsuitable temptations. Should be addressed. Tolerance is the ability to respect other people s dignity and rights and to respect them even though they do not agree with others opinions or beliefs. Therefore, the power to refuse prejudice and stereotypes should be treated as humanity and education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