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500.jpg
KCI등재 학술저널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eaning types of attendees of museum programmes - focused on the school pupil session at Ulsan Museum

DOI : 10.30940/JQI.2020.6.1.527
  • 340

대중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이 기획·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은 그 내용과 수준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처럼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에서 박물관 교육 참여자들이 얻어가는 의미있는 경험을 보다 면밀히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본고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박물관에서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산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울산의 산업, 호기심을 열다’ 에 참여한 학생 중 3주 과정을 모두 수료한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여섯 가지의 의미 만들기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학습과 관련된 의미로 지식의 이해, 지식의 확장, 지식의 활용, 지식의 관심, 지식의 응용을 통해서 의미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가족에 대한 감정 생성, 가족과 학습 경험 공유 희망, 가족과 학습 내용 연관 짓기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미 만들기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꿈과 관련된 의미로 진로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 진로와 관련된 학문에 도움, 진로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 등이 나타났다. 네 번째는 가치관과 관련된 의미로 가치관의 습득, 학습 태도의 변화, 향후 학습에 대한 의지, 학습태도에 대한 성찰, 생활 태도의 변화, 관점의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다섯 번째는 단체활동과 관련된 의미로 사회적 기술 향상(의사소통, 토의), 최고의 성과물 획득 경험, 역할분담, 단체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감정, 단체활동의 중요성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여섯 번째는 박물관과 관련된 의미로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의미 만들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확보된 연구 자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각 의미 범주의 세밀한 형성과정을 밝혀낸다면 박물관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의미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quality and user-friendly education contents that are mainly perform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m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ttendees of museum sessions build their own meaning, this paper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seum education programmes. The museum session “Ulsan Industrialization, Open the Gate of Curiosity” in Ulsan Museum has been conducted for 3 week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attendants, 15 interviewees, attending for all three wee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they were interviewed for 1 hour, right after the session. As results, total six different meanings have been found. The first meaning was about knowledge making. The students can extend, develop, apply their newly gained knowledge during the session. Secondly, the students tended to have intense feeling of connection to their family members while they learned about information relevant to their family. Third, it was about dream making. After the session, several of them came to have new dreams, seemingly influenced by the museum programmes. To a certain extent, their future had been influenced by this museum experiences. Fourth, attendees seemed to develop different attitudes and values in their everyday life. They tended to show strong willingness for their school life or learning attitudes at the museum sessions. Fifthly, group works facilitated and taketheir skills to another levels higher,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discussion attitudes, sharing responsibility. Those skills are all related to the group session of the museum programmes. Finally, their perception on museum has been changed to see it as a positive institution for learning. Based on this primi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uil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museum session and this is expected give useful insights for development and quality of museum programmes in the future.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