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510.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 타당화 및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CoA inventory for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nd Assessment Literacy

DOI : 10.31158/JEEV.2020.33.1.23
  • 577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를 타당화 하고, 교실평가의 목적 및 특성에 대한 우리나라 중등 예비교사의 인식,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평가인식 척도(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가 활용되었고, 연구대상은 D와 K지역에 소재한 세 개의 국공립·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564명의 예비교사이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척도 번안 및 내용 타당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평가인식 척도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다차원 Rasch 분석(Adams & Wilson, 1996)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TCoA 척도는 학교 및 학생 책무성, 향상, 타당 및 부적절성 인식으로 구성된 5요인 모형으로 타당화되었다. 또한 다차원 Rasch 모형에 기반한 문항분석 결과, 문항의 적합도 및 신뢰도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예비교사가 지닌 교실평가에 대한 인식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평가가 부적절하다는 인식에는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경험한 피드백을 신뢰하고 가치가 높다고 지각할 경우 보다 긍정적인 평가인식을 가지며, 부정적인 평가인식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향상 인식만이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TCoA) inventory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lso it was explored how the assessment environment and assessment literacy are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New Zealand teachers, uses 27 items, spread equally across nine factors, which are organized into four major, interrelated conceptions of assessment. A 27 item TCoA was completed by 564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 located in D & K region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sistently revealed a five-factor model where the validity factor was added to the Brown’s original model and also the six items were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judgemental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Also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Korean version of TCoA in terms of dimensionality, the response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Second, on average, prospective teachers agreed with the improvement/validity and the school/student accountability conceptions, while rejecting the view that assessment is irrelevant. Third, the supportive feedback environment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reinforced their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hile it made the negative ones weaken. Also, their improvement conception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environment and their assessment literac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TCoA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