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18년도 초등학교용 기초학력 진단검사에 나타난 기초미달 패턴 및 교과 간 기초학력 도달 관계 탐색
An Exploration of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Below Basic Levels in Various Subjects of the 2016~2018 Diagnostic Tests of Basic Skills for Elementary Students
- 1,083
본 연구의 목적은 2016~2018년 초등학교 기초학력 진단검사(이하 진단검사) 5개 교과(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간 가능한 모든 조합에서 기초미달률을 구하고, 각 교과의 기초미달자 중 다른 교과에서의 기초미달률을 구하고, 교과 간 기초학력 도달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대상 학년은 초등학교 4~6학년이다. 대상 학생 수는 학년별로 5,073~5,463명 정도였다. 연구결과 첫째, 3년 자료를 분석했을 때 5개 교과 응사자 중 기초학력 미달 교과가 1개 이상인 학생은 16.19%였다. 두 개 교과를 미달한 경우, 수학과 과학을 동시에 미달한 경우가 많았다. 단일 교과 중 미달률이 가장 높은 교과는 과학이었고, 다음으로 수학이었다. 둘째, 4학년은 국어나 과학, 5학년은 사회나 영어, 6학년은 국어 기초학력에 미달한 학생 중 다른 교과에서도 기초학력에 미달한 학생이 50%이상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국어, 사회, 과학 교과에서 기초학력에 도달하면 다른 교과의 기초학력에 도달할 승산이 높았다. 수학과 과학상호 간 한 교과에서 도달하면 다른 교과에서도 기초학력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levels(BBL) on the 2016~2018 Diagnostic Tests of Basic Skills (DTBS) in 5 subject areas (Korean, Social Science, Math, Science, and English), to explore the proportions of BBL students who also in BBL on the other subjec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achievements in the subject areas. DTBS was administered in the early of March each year to the students in grade 4 to grade 6 in Korea. The numbers of students sampled with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were 5,073~5,463 from year 2016 to year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proportions of students who were in BBL at least in one subject were 16.19%. The BBL proportion of the combination of Math and Science was the highest than any other combinations of two subjects. Secondly, among the BBL students in Korean or Science in grade 4, in Social Science or English in grade 5, and in Korean in grade 6, more than 50% of them tended to be in BBL on other subjects. Thirdly, when students were above the BBL on Korean, Social Science, or Science, they were more likely being above the BBL on other subjec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