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Citi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Literature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구 한국정보화진흥원)
- 정보화정책저널
- 정보화정책저널 제27권 제1호
-
2020.033 - 35 (33 pages)
- 89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
Interest in smart cities is grow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rban planning, urban economy development, health, and many other areas are intertwined within smart city research and practice. The definition of smart city is evolving, and its vagueness is sometimes confusing. This review of the smart city literature tries to capture the big picture of this big idea. This review places into context work done since 2016, as earlier work is well reviewed in Albino (2015) and Cochia (2014). First is a review of the various smart city definitions. Second, an inventory of terms related to or subsumed by the smart city label are presented. Third, outcomes of indexes created to measure a city’s smartness are presented. Fourth, the taxonomies used to organize the disparate content that falls under the smart city umbrella are discussed. Fifth, the most recent literature associated with six commonly recognized subgenres, namely smart economy, smart governance, smart living, smart people, smart environment, and smart mobility are reviewed. Sixth, important critiques of the smart city idea are presented.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