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Nurs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Capstone Design Classes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7권1호
-
2020.03187 - 198 (12 pages)
-
DOI : 10.20496/cpew.2020.7.1.187
- 44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사전에 조사하여 구체적인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J시 간호학과 재학생 총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대한 문항별 인식도 문항 중 학과 내에 캡스톤디자인 과목 개설 시 참여의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요구도는 절정감, 성취감, 성공경험 등의 감성적 체험을 제공하는 활동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인식은 학년(t=-9.57, p=.000), 수업여부(t=8.878, p=.000), 대인관계(t=4.351, p=.01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캡스톤디자인 요구는 학년(t=-7.61, p=.000), 전공만족도, 수업여부, 대인관계(t=4.791, p=.000, t=6.486, p=.000, t=6.164, 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캡스톤디자인 인식과 캡스톤디자인 요구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809, p=.00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캡스톤디자인의 인식과 요구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advance, and to design specific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tems in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the field of participation was the highest when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opened in the department. Activity was the highest survey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pstone design recognition in grade (t = -9.57, p = .000), class status (t = 8.878, p = .000),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 = 4.351, p = .014). Capstone design requirements were grade (t = -7.61, p = .000), major satisfaction, class avail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 = 4.791, p = .000, t = 6.486, p = .000, t = 6.164). p = .003). Third, there was a signific -ant correlation between capstone design recognition and capstone design demand (r = .809, p = .000). This study shows that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capstone design are important in designing capstone design classes for nursing stud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