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40.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공학에세이 쓰기 교육 모델

Education Model on Engineering Essay Writing utilizing Smart Devices

  • 54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육 방식에도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글쓰기 교육에서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계열별 글쓰기 중 공대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을 사례로 제시한다. 이는 자신의 전문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훈련의 하나로, 자신이 배우고 있는 전문적인 공학 지식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공학에세이를 통해 하는 글쓰기 교육모델을 제시한다. 공학에세이를 쓰는 과정에서 공학도들은 논증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활용되는 스마트 기기 활용의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교수자와 학생을 만나게 해준다. 또한 온오프라인에서의 협력학습을 통해 조별과제를 진행함으로써 글쓰기에 두려움을 지니는 공대생들은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수업과정에서는 먼저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부터 카카오톡을 통한 교수자의 피드백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주제 설정 및 개요 짜기에서도 교수자의 카카오톡을 통해 실시간 피드백이 진행된다. 집필과정에서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불특정 다수가 제공하는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구글 문서를 통해 공동집필을 하며, 집필결과를 발표한 후에도 LMS를 활용한 조별 첨삭 및 토론이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원고 수정과 제출을 통해 공학에세이 쓰기 수업은 완성된다. 이 논문은 공학에세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협동학습으로 교육함으로써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의사소통능력을 키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paper begins under the premise that a new method of education is deemed necesary at the daw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llowing this change, it is necessary to contemplate and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devices in the course of writing education. Among the various existing writing courses of various fields, this paper focuses on the case study of engineering students. The presented case is a part of a training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one in which students learn the skill of deliver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that they have learned to the public in a manner easy to comprehend. The study proposes an education model in this essay writing course. Through the writing course, engineering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to write logical and persuasive essays. In addition, the advantage of smart devices is that it allows the student and teacher to interact without the boundaries of time and location. Furthermore, by proceeding group projects in on and off line cooperative learning, engineering students learn to overcome the common fear of writing. The class initiates with a brainstorming session, which is overseen and given feed back from the professor using Kakao Talk. The following steps, such as the selection of theme and abstract development is also supervised and responded through Kakao Talk. In the course of writing, data is collected through real time access to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the writing is done together through Google Document. A revision and discussion session is continued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essays through LMS. Finally, the course is complete after revision of the manuscript and submssion.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introducing the use of smart devices to the education method of cooperative engineering writing.

1. 머리말

2. 공학에세이의 필요성 및 효과

3.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공학에세이 교육과정

4. 공학에세이 쓰기 교육 모델 제시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