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writing of vowels in the 『Gugeodokbon』 during the Enlightenment and the 『Joseoneodokb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송미영(Song Mi-young)
- 어문연구학회
- 어문연구
- 語文硏究 第103輯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3
- 5 - 32 (28 pages)
이 연구는 개화기 『國語讀本』과 일제 강점기 네 차례 발간된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10년 일한병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국어는 조선어로, 일어가 국어로 뒤바뀌어 국어 교과서는 조선어 교과서로 격하된다. 1895년 학부 관제가 시행되면서 학부에서 교과서 발간을 주도하였으나, 조선총독부는 내무부 산하에 학무국 편집국만을 설치하여 교육 행정이 매우 축소된다. 즉 일제 강점기 교과서 편찬의 주체는 학무국의 편집과였고, 조선총독부의 편수관이나 편수 서기 등의 소수의 인원에 의해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개화기 『國語讀本』(1907~1908)은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에 따라 자구 정정을 거쳐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1911~1913)으로 발간되었고, 이어 세 차례 『朝鮮語讀本』이 간행된다. 그러나 『國語讀本』과 『訂正 普通學校 學徒用 朝鮮語讀本』만 내용이 유사할 뿐 이후 세 차례의 『朝鮮語讀本』은 대부분 개정된 내용이다. 또한 당시 어문 규범에 해당하는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존재했고, 교과서 편찬 시 이에 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 정책에 해당하며 교과서 편찬의 지침이라 할 수 있는 어문 규범, 교과서 서문 등과 함께 『國語讀本』과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아래아(ㆍ),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모음 탈락 등의 표기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of vowels in “Gugeodokbon by Enlightenment and “Joseoneodokbon published four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was established in 1910, ‘Gugeo(korean) became ‘Joseoneo and ‘Japanese was changed to ‘Gugeo and ‘Gugeo(korean) textbook became ‘Joseoneo textbook . It was downgraded. In 1895, textbooks were published by Hakbu, bu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only installed academic affairs bureaus at home affairs, greatly reduc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Japanese Colonial Era textbook was in charge of the academic affairs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 and was compiled by a small number of personnel(editorial officer, editorial clerk). “Gugeodokbon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was revised and published as “Revised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 in accordance with assimilation policy of Japanese, followed by Joseoneodokbon three times. However, only Guugeodokbon(1907-1908) and Revise Primary School Joseoneodokbon(1911-1913) have similar content, and the three later publications, Joseoneodokbon are mostly revised. At that time, there was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corresponding to Linguistic Nor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vowels writing of Gugeodokbon and Joseoneodokbon, with the Linguistic Norms and textbook prefaces, which are both educ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for textbook compilation.. This study focused on writing such as Arae-a(·), Vowel-rounding,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Vowel deletion.
1. 서론
2. 일제 강점기 국어 정책과 조선어 교과서
3. 『國語讀本』과 『朝鮮語讀本』의 모음 표기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