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isk Analysis for Seven Consumer Products Excluded in the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n South Korea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2
-
2020.0239 - 55 (17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0.16.2.39
- 39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통해 발굴된 비관리 제품 중 예초기안전판, 낫, 톱(톱날), 차량용 캐리어, 스노우체인, 짐볼, 등산스틱에 대하여 위해도를 분석하고 안전관리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제품 별 국내·외 관련 기준 및 사고사례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제품 별 위해 수준 및 안전관리 필요성을 분석한 후 분석결과에 대하여 외부 전문가 평가, 소비자 및 제조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결과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안전관리 적용 대상 제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등산스틱과 짐볼은 안전기준 제정을 통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안전관리 수준의 경우, 짐볼은 안전확인 대상, 등산스틱은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으로 관리해야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량용캐리어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과 시험항목 등에 대한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isk level of non-managed products excluded from the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 (PSCS)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the need of those products to be managed by PSCS. It focused on seven products including lawn trimmer, sickle, saw (saw blade), luggage carrier, snow chain, exercising ball, and alpine stick, which were found hazardous by the 1st Multi-ministries Product Safety Policy Council in 2017. The risk and need of safety management for each product were analyz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ccident case analysis, and Delphi technique. We then modifie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such as external experts, consumers and manufacturers and suggested which products should be included in PSCS. The results showed that an exercising ball and an alpine stick should be included in PSCS to manage the potential risks. Concerning an appropriate level of safety management for those products, an exercising ball should be managed by safety verification system while an alpine stick by supplier guarantee system. Besides, further study is needed for a luggage carrier regarding its need of safety management and testing item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