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왜관요의 백토구청(求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quest of porcelain Clay in Waekwanyo, Busan

  • 16

본 연구는 대마번(藩)이 1639년 부산왜관에 사기번조 가마(窯)를 설치한 해로부터 1717년 폐쇄하기까지 80년 동안 사기를 번조하기 위한 각종 백토를 동래부에 구청하여 지급받은 사실에 관한 내용이다. 특히 1670년대부터 구청해온 사기토는 조선초기로부터 민간요에서 사발을 만들 때 사용했던 점토가 아니고 고령토질 백토에 집중되어 있었다. 필자는 왜관요에 지급된 백토의 수량이 지나치게 과다하였던 것에 주목하여 고찰한 결과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진 역사적 내용과는 달리 대마번이 왜관 안에 번조 가마를 만든 것은 차완번조를 빙자하여 우수한 조선산 백토를 일본으로 가져가기위한 수단으로 파악하였다. 양질의 조선백토가 왜관에 대량으로 들어간 17세기후반은 큐슈 이마리(伊万里)주변지역의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를 바탕으로 한 채색자기가 유럽으로 수출되던 최성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구청백토수량에 관한 일본기록은 전무함으로 조선기록인『사기번조유초』『왜인구청등록』의 원전기록을 재해석하므로 이상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당시 왜관요의 시설규모 및 운영상황, 왜관요 출토 도자기파편을 분석한 결과 왜관요에 지급된 대부분의 백토는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사실을 논술한 내용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fact that Tsushima built pottery kilns in Waekwan, Busan in 1639 and then requested Dongnaebu to offer a variety of porcelain clay needed to burn the pottery for about 80 years until closing the Waekwan kilns in 1717. The amount of porcelain clay requested was relatively small from the time of making kilns to the 1660s. However, the amount showed a severalfold increase from the 1670s. Especially since the 1670s, the ceramic clay requested was mainly white porcelain clay with kaolin ingredients.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white porcelain clay was sent to Waekwan was excessively huge. As a result, unlike the historical facts known so far, the reason why the Tsushima intended to make pottery kilns in Waekwan seems to use excellent Joseon white porcelain clay on the excuse of making Chawan. The late 17th century was the golden age of the coloring porcelain produced in kilns around Imari, Kyushu and exported to Europ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huge amount of high-quality white clay of Joseon was sent to Waekwan. There was no Japanese record on the over-requested white porcelain at that time. We found these new facts by reinterpret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s of 『WaeinGucheongDungrock(倭人求請謄錄)』and 『SagiBunjoYucho(沙器燔造類抄)』. We also found that most of white clay was sent to Japan through Waekwanyo. This is supported by the analyses about the scale of facilities, operational situation of Waekwanyo, and ceramic fragments excavated from Waekwanyo.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