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섯 가지 상호의존적 ‘모빌리티’에 대한 비판적 검토

Restructuring the Five Interdependent Mobilities - With Conceptualizing the Term of Mobility

  • 404

이 논문은 현대 사회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핵심 개념인 ‘모빌리티’라는 포괄적 용어 안에 함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상호 관계적 세부 개념 혹은 의미들을 드러낸다. 이들 중 일부를 중심으로 본고는 ‘모빌리티’의 여러 개념들을 우선 네차원으로 구분한다. ‘현상으로서의 모빌리티’, ‘기술로서의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의 모빌리티’, ‘패러다임으로서의 모빌리티’가 그것이다. 모빌리티 안의 여러 층위의 개념들의 관계는 선형적이지도 일방적이지도 않다. 그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서로를 야기하거나 강화, 약화, 혹은 상쇄하거나 생성하거나 변형시킨다. 이들 개념의 내포와 관계를 적절히 구분 짓기 위해서, 모빌리티가 ‘지리적 이동’의 문제로부터 출발했던 패러다임이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존 어리가 ‘다섯 가지 상호 의존적 모빌리티’로 명시한 것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한다. 상상이동과 가상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육체 이동과 물리적 이동의 구분을 다시 한다. 그리고 그가 지목한 통신 이동은 오히려 통신 기술을 통한 이동이라는 점에서 다른 네 이동과 구분되는 층위의 이동임을 밝힌다.

In this paper I was trying to analyze the term of ‘Mobility’ and figure out various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it. First of all, I extracted over 10 concepts from the term of Mobility and divided them into 4 dimensions that Mobility Phenomenon, Mobility Technology, Mobility System, Mobility Paradigm. Their relations are neither unilinear or unilateral but interactive and interdependent. They cause, enhance, reinforce, offset, decrease, create or transform each other. For classifying each connotation properly, I think we should remember that the origin of the term or paradigm of Mobility was geographical movements like migration or global moving. To exam this conceptualizing, I was trying to restructure five interdependent mobilities.

1. 서론

2. “모빌리티”가 포괄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상호 관계적 개념들 1

3. “모빌리티”가 포괄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상호 관계적 개념들 2

4. 다섯 가지 상호의존적 모빌리티에 대한 재해석 1

5. 다섯 가지 상호의존적 모빌리티에 대한 재해석 2

6. 결론: 모빌리티의 인문학적 연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