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사고와 표현>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논증적 글쓰기 수업과 교육토론의 통합 모형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모형은 현실적 적용의 어려움을 이유로 토론의 절차나 토론 방법에 대한 이론 수업이나 보여 주기식 수업에 머물기 쉬운 교육 토론 수업을 학생 모두가 참여하는 실제적 토론 수행 수업으로 활성화 시키는 방안으로 제시한다. 논증적 글쓰기와 토론은 독자나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논증 자료와 함께 논리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사고와 표현> 수업에서 글쓰기는 수행과제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교육 토론은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학 신입생들이 교육토론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에 토론의 이론 이해 수업과 아울러 수업시간에 진행하는 될 토론의 과정 이전에 있어야할 준비과정의 첨삭지도 등의 부담이 크다는 데 기인한다. 그러나 토론은 사회가 발전할수록 다양화되는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중요성을 생각하면 교양필수과목의 교수요목으로 꼭 필요한 수업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육토론 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토론의 정신을 이해하고 그 방법을 익히는 교육토론 수업의 진정한 의의를 살리는 방안으로 논증적 글쓰기와 교육토론 수업을 통합하여 진행하는 모형을 제안한다. 글쓰기와 토론의 통합 수업의 방안 가운데 본고에서는 글쓰기를 먼저하고 교육토론 수업을 후에 하는 방안을 선택하여 제안한다. 또한 효과적인 통합 수업을 이루기 위해서 수업진행에서 유의점을 밝혀 두고 실제 학생 글과 토론 내용과 토론 참관록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Previously, in thinking and expression lessons, students are only taught with debating procedures or theory on means of debating and classes only demonstrates few examples. This paper proposes new model where all the students are be able to participate in clas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actual debate. Argumentive writing and debating have few in common where they are both have purpose in persuade audiences by proposing personal opinion with proper reasoning which is based on reference related to the argument. However, in actual class, there are not many chances of having debating training since all the argumentive writings are given a practice task. Most of the first year students does not have background education on debating. Also determining controversial issue, que card with basis of the argument, pre-debating and its feedback is necessary in order to have proper debating. Therefore most of the teachers have hard time proceeding the debating class. However, in order to solve conflicts and problem in the developing society, debating is necessary to first yea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argumentive writing and academic debate debating model to seek the way to nurture true sense of academic debate by overcome the limitation of current debating class, find the true meaning of debating and become proficient at debating. Among a model of integrate writings and debating, this paper choses to deal with writings before academic debate. This method proposes to have practice in writing student s opinion with argumentative sense and then participate in debate with same topic.
Ⅰ. 머리말
Ⅱ. 논증적 글쓰기와 교육 토론 통합 수업의 의의
Ⅲ. 통합 수업 진행의 유의사항
Ⅳ. 통합 수업 모형과 실제
Ⅴ. 맺음말
(0)
(0)